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여성 유방암 진료 급증…40·50대가 절반 이상"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9년 만에 2배 ↑…신규 환자도 늘어
김예지 의원 "초음파 국가검진 필요"

지난해 유방암과 관련해 진료받은 여성 환자가 9년 전보다 약 두 배로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절반 이상은 40·50대 중장년층이었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유방암 관련 진료 인원은 30만7910명이었다. 이는 전년(28만9514명)보다 6.4%, 9년 전인 2015년(15만7373명)보다는 95.7% 늘어난 규모다.

여성 유방암 관련 진료 인원은 2016년 17만3387명, 2018년 20만5123명, 2020년 23만3840명, 2022년 27만2129명 등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유방암의 국제적 상징인 핑크리본

유방암의 국제적 상징인 핑크리본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는 유방암 신규 환자가 늘고 있는 데다 수술·치료와 추적 관리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암 등록 통계에 따르면 여성 유방암 신규 발생자 수는 2015년 1만9402명에서 2022년 2만9391명으로 51.5% 늘었다.


지난해 여성 유방암 관련 진료 인원을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4.6%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60대(27.7%), 40대(20.0%), 70대(11.2%) 30대(3.3%), 80대(2.8%), 20대(0.3%) 등의 순이었다. 절반 이상(54.6%)이 40·50대 중장년층에 해당했다.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이 가장 흔하게 걸리는 암으로 대장암, 폐암, 위암 등에 비해 젊은 연령군에서 발생률이 높다.

김 의원은 "현재 국가건강검진 사업으로 40세 이상 여성에게 2년마다 유방 촬영검사를 지원하고 있지만, 유선조직이 밀집한 '치밀 유방'이 많은 한국 여성의 경우 유방촬영술만으로는 종양을 놓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방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완치율이 높고 유방 보존도 가능한 만큼 국가검진 제도에 초음파 검사를 도입해 조기 진단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