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추석 연휴 길어서 더 무서워요"…71만원 지출 앞에 지갑은 '비명'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작년 추석 때보다 비용 26.4% 증가
부모님 용돈·선물비가 전체 예산의 절반 이상

올해 추석 연휴가 최장 열흘에 달하면서 소비자들의 지출도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물가 상승과 부모님께 드리는 효도 비용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20일 전국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추석 지출 계획'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서 응답자의 86%는 긴 연휴로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특히 40대의 부담감(71.1%)이 가장 높았다.


지출 예산은 평균 71만2300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56만3500원)보다 26.4% 늘어난 수치다. 연휴 기간이 늘어난 영향도 있으나, 일평균 지출로 환산하면 지난해 11만2700원에서 올해 10만1800원으로 오히려 줄었다.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 진열돼 있는 추석 선물. 연합뉴스

서울의 한 대형 마트에 진열돼 있는 추석 선물.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세부 항목 가운데 부모님 용돈·선물비가 38만6100원으로 가장 많아 전체 예산의 절반 이상(54.2%)을 차지했다. 차례상 비용(29만4600원), 친지·조카 용돈(27만400원), 내식 비용(24만7200원)이 뒤를 이었다. 가장 부담되는 지출 항목 역시 부모님 용돈(22.1%)으로 나타났다.

명절 문화가 변화하는 추세도 뚜렷하게 드러났다. 추석 연휴 활용 계획으로 '집에서 가족과 휴식'이 46.8%로 가장 많아 전통적인 귀성(36.4%)을 앞섰다. 국내여행 계획(23.2%)은 해외여행(5.7%)보다 4배 이상 높았다. 전체 응답자의 24%는 연차를 더해 8일 이상 초장기 휴가를 계획했으며, 이유로는 충분한 휴식(49.6%)이 가장 많았다.


차례상 준비 방식에서도 변화가 나타났다. 전통 방식을 유지하겠다는 응답은 13.3%에 그쳤고, 간소화(40.2%), 아예 하지 않음(23.5%), 가족 식사 대체(22.7%)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그러나 차례상 예산은 여전히 29만4600원 수준으로 실제 절감 효과는 크지 않았다.


추석 음식 가운데 가장 부담되는 품목은 과일이었으며(평점 3.94점), 축산물(3.64점), 수산물(3.55점)이 뒤를 이었다. 과일은 비싸도 국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여전히 강했지만, 축산물은 22.5%가 수입산을 고려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86%는 긴 연휴로 경제적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특히 40대의 부담감(71.1%)이 가장 높았다.


소비자공익네트워크는 "명절 문화가 간소화·개인화되는 흐름 속에서도 가족 관계를 위한 지출은 되레 증가하고 있다"며 "물가 안정 캠페인과 성수품 원산지 조사를 통해 소비자 부담 완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