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AI 스타트업 토크' 개최
퓨리오사AI CTO·모레 CEO·마크비전 AI 총괄, 창업·기술·비전 공유
국내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이 엔비디아의 독점 구조를 돌파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소버린 AI'(국가 인공지능 주권) 논의와 맞물려, 스타트업 리더들은 "내수 보호보다 오픈소스를 능가하는 역량 확보가 중요하다"며 실행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인재의 역할을 강조했다.
최종현학술원과 한국고등교육재단은 19일 서울 강남구 재단 컨퍼런스홀에서 'AI 스타트업 토크'를 열고, 한국 스타트업의 글로벌 도전과 인재 전략을 논의했다. 강연에는 김한준 퓨리오사에이아이(퓨리오사AI) 최고기술책임자(CTO), 조강원 모레 대표(CEO), 이주형 마크비전 인공지능 총괄이 참여해 창업 배경과 핵심 전략을 공유했다.

이경훈 글로벌브레인 한국 대표(왼쪽부터), 김한준 퓨리오사AI 공동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 조강원 모레 대표(CEO), 이주형 마크비전 AI 총괄이 지난 1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고등교육재단 빌딩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한국고등교육재단 공동 주최 ‘AI 스타트업 토크’ 강연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최종현학술원
세 연사는 각각 ▲인공지능 반도체 패권 도전 ▲비용 구조 혁신을 통한 인프라 소프트웨어 전략 ▲인공지능 기반 글로벌 위조상품·콘텐츠 단속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한준 CTO는 "엔비디아의 독점 구조를 저전력 추론용 칩으로 돌파하겠다"고 밝혔고, 조강원 대표는 "진짜 경쟁력은 모델이 아니라 비용을 혁신하는 소프트웨어"라고 강조했다. 이주형 총괄은 "위조상품 시장이 연 500조원 규모에 달한다"며 글로벌 지식재산권 보호의 중요성을 짚었다.
국가 인공지능 주권을 뜻하는 '소버린 AI' 논의에서는 조 대표가 "내수 보호보다 오픈소스를 능가하는 경쟁력 확보가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또 김 CTO는 "인공지능은 본질적으로 글로벌 경쟁의 영역"이라고 언급했다.
인재 전략과 관련해선 "낮은 수준의 문제 해결은 인공지능이 대신하므로, 인간은 문제 정의와 질문 능력에 집중해야 한다"는 공통 의견이 제시됐다. 프롬프트 활용 역량과 고차원 문제 해결력을 갖춘 인재나 끈기를 갖춘 스타트업 팀에 기회가 열려 있다는 점도 강조됐다.
오지은 기자 joy@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