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청정수소 확대, 대규모 정책·금융 지원 필요"…청정수소교역이니셔티브포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산업부 주최·한국수소연합 주관 행사
청정수소 시장 중국 등 아시아로 이동
금융 지원 통해 수소가격 하락 유도해야
국가별로 다른 인증기준 해결해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수소연합이 주최한 '제 4회 청정수소 교역이니셔티브' 행사가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수소연합이 주최한 '제 4회 청정수소 교역이니셔티브' 행사가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AD
원본보기 아이콘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안보를 위해 청정수소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청정수소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과 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수소연합 주관으로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CHTI)'에서 안니 나카무라 S&P글로벌 부국장은 "청정수소 시장의 중심이 아시아로 이동하고 있다"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정책 지원, 대규모 공급망 구축, 규제 간소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S&P글로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건설·운영중인 수전해수소 프로젝트 규모는 2025년 6월 기준 약 18기가와트(GW)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증가했다. 특히 중국, 인도 등 아시아 국가들이 그린 수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안니 부국장은 "2030년이면 그린수소 시장의 55%를 중국이 차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유럽연합(EU)과 미국의 그린수소 시장은 정체되고 있다. 안니 부국장은 "EU에서는 의사 결정이 지연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OBBBA)' 시행 이후 그린수소 프로젝트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별로 청정수소 인증기준이 다른 점도 향후 시장 확대에 장애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블루닷네트워크의 이문경 애널리스트는 청정 수소의 투자 촉진을 위해 차액계약(CfD), 수소 오프테이크(장기구매계약) 보증, 환위험 보증 등 다양한 지원 정책을 제시하면서 국제 인증을 통한 지속 가능성과 포용성을 확보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OECD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청정수소 프로젝트 규모는 750억 달러(약 104조원)로 2020년에 비해 90% 증가했다. 이문경 애널리스트는 "2030년까지 청정수소 수요는 800만톤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정책과 규제가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OECD는 금융 지원을 통해 균등화수소비용(LCOH)이 kg당 3달러까지 내려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청정수소 발전 비용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전력망 시설투자비(53%)였으며 전해조 가격(23%), 전력 운영비(19%)의 순으로 분석됐다. 이 애널리스트는 "청정수소생산에 대한 금융 지원을 통해 LCOH를 낮춰 청정수소의 가격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장기구매계약, CfD 등의 정책 지원을 통해 리스크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이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 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이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 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원본보기 아이콘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본부장은 이날 한국 청정수소 인증제의 주요 기준과 운영 방안을 소개하면서,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장(CHPS) 참가 기업을 위한 사전 컨설팅 제도가 공급망 프로젝트의 불확실성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인증제 고도화를 위해 인공지능(AI) 기반의 최적화 전략과 국제 협력 강화를 통한 MRV(측정·보고·검증) 체계를 일원화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본부장은 "이재명 대통령의 방일을 계기로 수소 협력이 장관급 의제로 격상됐다"며 "일본 에너지·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조그멕)와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우선 일본과 청정수소 인증 기준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전력거래소의 김권 부장은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장의 제도 설계 방향을 발표하면서, 총 발전원가·청정수소 인증 등급·산업 기여도를 종합 평가하는 체계를 소개했다. 김 부장은 경제성과 친환경성을 균형 있게 반영한 시장 운영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일본 조그멕은 일본 정부가 저탄소 연료 보급 공급망 확대를 위해 향후 15년간 CfD 기반의 장기 지원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독일 H2글로벌과의 협력 및 한일 대화 채널을 통한 공급망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독일 H2글로벌은 청정수소의 확산을 위해 시장의 형성과 확대의 단계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특히 운영 중인 수소 공급자와 장기계약을 체결하고 수요자와 단기 판매를 연결하는 양방향 입찰 구조(Hintco)와 58억 유로 규모의 입찰 지원 현황, 25억 유로 규모의 2차 입찰 계획 등을 공개했다.


인도 GH2인디아는 '국가 녹색수소 미션'을 소개하면서, 2030년까지 연간 500만 톤 수소 생산, 1250억 달러 투자, 60만 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또한 각 주정부 인센티브와 인프라 지원 정책, 인도 태양광에너지공사(SECI)의 그린 암모니아 조달 사업을 통해 비료 산업의 탈탄소화를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우리의 최종 목표는 재생에너지 기반의 그린수소이지만 기술과 가격 등 현실성을 고려해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며 "지금까지 축적한 블루수소 기반의 청정수소 생산기술 및 경제성을 기반으로 단계적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없는 그린수소로 전환해야 현실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경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약 390만 톤의 수소 수요가 전망되는데, 이 가운데 70%는 해외에서 공급받아야 한다"며 "청정수소의 수요 및 공급은 어느 한 나라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이므로, 국제사회가 힘을 모아서 공급망을 설계하고 교역을 확대해 나가야 비로소 청정수소 산업의 성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19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회 청정수소 교역 이니셔티브 포럼'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수소연합

원본보기 아이콘

박덕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한국은 새 정부에서도 수소를 탄소중립 이행과 미래 에너지산업의 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보고 청정수소 전주기 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외 전문가와 업계 관계자 250여 명이 참석했다. 김재홍 한국수소연합 회장, 박덕열 산업통상자원부 수소경제정책관, 필립 라포튠(Philippe Lafortune) 주한캐나다대사, 마틴 워커(Martin Walker) 주한호주대사관 부대사, 오니 얄링크(Onny Jalink) 주한네덜란드대사관 부대사 등 주요 인사들이 함께했다.


한국수소연합은 "지난해 포럼이 청정수소 인증제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글로벌 청정수소 교역 활성화를 위한 투자 촉진, 공급망 설계, 정책 지원 등 핵심 현안을 논의하면서 실질적 협력 기반을 모색하고 국제 공조를 넓히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강희종 에너지 스페셜리스트 mindl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