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의자 부친, 자수 권유 등 결정적 역할
일각선 "커크 운영 단체에 기부해야" 주장도
미국 유타주 검찰이 지난 10일 찰리 커크 터닝포인트 USA 대표를 총으로 쏴서 숨지게 한 용의자 타일러 로빈슨을 가중 살인·총기 발사 중범죄 등의 혐의로 16일 정식 기소한 가운데 100만 달러(약 13억 7910만원) 이상까지 불어난 현상금을 누가 받느냐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16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등 외신은 "100만 달러 이상의 현상금을 누가 받을까" 등 제목의 기사를 통해 찰리 커크를 살해한 용의자와 관련해 무성한 소문과 논란이 일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찰리 커크를 살해한 용의자인 로빈슨은 연방수사국(FBI)의 수배가 있은 지 33시간이라는 상당히 짧은 시간 안에 체포됐다. 당초 FBI는 10만 달러의 현상금을 걸었는데, 커크 총격범 수색을 지원하기 위해 보수 진영 인사들이 돈을 얹으면서 규모가 크게 늘었다.
로빈슨의 부친은 당국이 공개한 용의자의 사진에서 아들을 알아봤다. 특히 로빈슨은 27년 동안 법 집행 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는 부친의 권유에 따라 범행을 자백했다. 체포 과정서 부친이 아들에게 자수를 권유하고 지인 목사에게 설득을 부탁하며 체포 작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스펜서 콕스 유타 주지사는 "로빈슨 가족이 지인에게 자수 의사를 전했고 이 지인이 당국에 연락해 신고했다"며 "올바른 선택을 한 로빈슨의 가족에 감사하고 싶다"고 했다. 가족들은 로빈슨의 범행 동기와 관련해서도 수사 당국에 실마리를 제공했는데 콕스는 "로빈슨의 가족들은 그가 최근 몇 년간 정치적으로 변했다고 증언했다"고 전했다.
보수 인사 기부 나사면 현상금 액수 크게 늘어
커크가 총격으로 사망한 직후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이 받은 충격은 적지 않았는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청소년 홍보·커뮤니케이션을 자문했던 알렉스 브루스위츠, 보수 성향 활동가인 로비 스타벅은 각각 2만5000달러를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대선에서 트럼프를 지지했던 월스트리트의 헤지펀드 거물인 빌 애크먼이 100만 달러를 내기로 하면서 현상 규모가 115만 달러까지 크게 불어났다. 로빈슨이 체포된 직후 X(옛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로빈슨의 부친이 금전적인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냐'를 놓고 한바탕 격론이 벌어지고 있다. "부친이 커크 유족에게 현상금을 기부하기로 했다"는 가짜 뉴스가 확산하기도 했다.
범죄·테러 제보자에 대한 현상금 지급은 통상 미 국무부 산하 '정의에 대한 보상' 프로그램에서 관리한다. 현상금을 실제로 수령하기까지 상당히 복잡한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한다. 각 기관 담당자들로 꾸려진 위원회가 현상금 지급의 타당성을 논의해 국무장관에게 최종 권고하는 구조다. 다만 뉴욕포스트는 "위원회 권고안은 구속력이 없기 때문에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전적인 재량권을 행사할 수 있다"며 "승인을 해도 현상금 액수를 변경할 수 있다"고 했다.
스타벅은 "로빈슨 부친이 현상금을 받게 되면 반드시 터닝포인트 USA에 기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애크먼 또한 "FBI가 정보를 제공했다고 지목하는 사람에게 현상금을 지급할 것"이라면서도 "(로빈슨의 부친이) 커크의 죽음에 관여했다면 현상금은 민·형사 소송을 통해 되돌려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