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난 다이소·올영 말고 딴 데 갈래"…韓 여행 필수 뷰티템 사러 'K약국행'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방한 외국인 관광객 사이 '약국 투어' 인기
재생 크림·트러블 연고 등 화장품 판매량 증가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의 쇼핑 지도가 달라지고 있다. 한때 '올다무(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가 방한 여행객의 필수 코스로 꼽혔다면 이제는 약국이 새로운 쇼핑 명소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인 'K-뷰티' 열풍 속, 재생 크림·트러블 연고 등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계를 넘나드는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 제품군이 글로벌 소비자의 주목을 받으면서 한국 약국이 단순한 의약품 판매처를 넘어 '체험형 뷰티·헬스 관광지'로 진화하는 모습이다.


명동에 위치한 약국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하는 모습. 이은서 기자.

명동에 위치한 약국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쇼핑하는 모습. 이은서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약국, 외국인 관광의 신흥 명소로

18일 인바운드 여행 플랫폼 크리에이트립에 따르면 지난 8월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선보인 'K-약국' 카테고리 관광 상품은 출시 직후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9월 1주차 대비 2주차 예약은 44% 급증했다. 국적별로는 싱가포르(121%), 홍콩(96%), 대만(9%) 순으로 증가세가 두드러졌고, 최근에는 미국 관광객까지 유입되며 고객층이 다변화되는 추세다.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K뷰티 쇼핑 트렌드가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올다무)를 넘어 약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방한 외국인 관광객의 K뷰티 쇼핑 트렌드가 '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올다무)를 넘어 약국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원본보기 아이콘

K-약국 카테고리 상품은 서울과 부산 주요 상권 내 약국을 방문해 약사 상담과 제품 구매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된 외국인 맞춤형 프로그램이다. 현재 강남, 홍대, 명동 등 9개 약국과 연계해 관광 상품을 운영 중이며 내년 1월까지 20개 지점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현장에는 약사와 영어·중국어·일본어 등 다국어 응대 인력이 배치돼 외국인 관광객의 편의성을 높였다.


'코스메슈티컬' 인기…K-뷰티 위상 확인

외국인들이 가장 많이 찾는 품목은 피부 재생 크림, 트러블 케어 연고 등 기능성 제품이다. 특히 화장품과 의약품의 경계를 허문 '코스메슈티컬' 제품군이 눈에 띄게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연어 주사 크림'으로 불리는 '리쥬올 크림'은 제휴 약국의 대표 인기 상품으로 꼽힌다.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K-뷰티 인기가 뒷받침된 결과로 보인다.



해시태그 'Koreanpharmacy'로 검색하면 나오는 영상들. 관광객들은 해당 영상을 보고 한국 약국을 찾는다. 인스타그램 캡처본.

해시태그 'Koreanpharmacy'로 검색하면 나오는 영상들. 관광객들은 해당 영상을 보고 한국 약국을 찾는다. 인스타그램 캡처본.

원본보기 아이콘

임혜민 크리에이트립 대표는 "현재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숏폼 플랫폼에서는 한국 약국 쇼핑 브이로그, 약국에서 꼭 사야 할 아이템 같은 콘텐츠가 인기를 끌고 있다"며 "'약국 투어'라는 신조어가 생겼고 약국은 새로운 외국인 관광 코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앞으로도 외국인 고객이 안심하고 한국 약국을 체험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일시적 유행을 넘어 한국 뷰티·헬스 산업의 새로운 성장 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특히 세계 경기 침체 속에서도 건강·뷰티 관련 소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K-약국 쇼핑 열풍이 단순한 쇼핑 트렌드를 넘어 한국이 글로벌 웰니스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