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요구에 동의하면 내가 탄핵당할 것"…타임지, 李대통령 인터뷰 공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타임, 18일 이 대통령 인터뷰 공개

미국의 3500억달러 대미투자펀드 압박에
"美 요구에 동의하면 내가 탄핵당할 것"

노벨상 후보자로 트럼프 추천하느냐 묻자
"북한 문제 진전 있다면 자격은 트럼프뿐"

"美 요구에 동의하면 내가 탄핵당할 것"…타임지, 李대통령 인터뷰 공개
AD
원본보기 아이콘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잡지로 평가받는 '타임' 커버스토리에 실린 인터뷰에서 국제 사회에서 한국의 역할을 '가교'로 설정했다. 미국과 동맹이면서도 중국과 경제적으로 긴밀하게 엮인 한국 정부야말로 역내 '교류와 협력'을 끌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3일 진행한 타임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은 미국 행정부와 우호 관계를 쌓아 역내에서 교류와 협력의 가교(bridge) 역할을 하는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는 미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사슬과 새로운 세계 질서 속에서 미국과 연대할 것"이라면서도 "중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관계를 관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만약 가교 역할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 "한국이 두 진영 간 전투의 최전선이 될 위험이 있다"는 게 이 대통령 생각이다. 타임도 이 대통령에 대해 "한국을 동서의 가교로 자리매김하려 한다"며 "이 대통령의 행보는 한국을 다시 일으키기(reboot)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타임은 지난 3일 중국 베이징에서 북·중·러 정상이 전승절 열병식을 계기로 만난 것을 언급하며 "(이 대통령이) 균형을 잡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거세진 미국 측의 통상 압박은 한국의 가교 역할을 위태롭게 만드는 요인으로 언급됐다. 이 대통령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를 두고 "미국 요구에 합의했다면 내가 탄핵당했을 것"이라면서 "미국 협상팀에 합리적인 대안을 요청했다"고 얘기했다.


李 "북한 문제 진전 있다면 노벨상 자격은 트럼프"

다만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서는 "아주 좋은 사람"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사업가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왔고 겉으로는 예측 불가능해 보일지 몰라도 매우 성과 지향적이고 현실적인 분이라 믿는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이 대통령은 "북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 진전이 있다면 노벨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 외에는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구체적 진전에 대해서는 이 대통령은 "대북 제재를 부분적으로 완화하거나 해제하는 협상을 통해 핵 활동 중단, 축소, 최종 비핵화라는 단계적 절차를 추진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북핵 문제는 제재를 일부 완화하면서 폐기를 끌어내는 게 최선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미·북 제네바 합의를 예로 들며 "제재 일부 완화와 단계적인 협상(동결→감축→비핵화)을 교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은 "북핵을 용인하냐, 완전 비핵화를 달성하냐의 '모 아니면 도' 선택 말고 중간 지점이 있다고 믿는다"고 했다.


한편 '코스피 5000시대'를 열겠다고 공언해 온 이 대통령은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16개 국내외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과 '자본시장 정상화, 새로운 도약의 시작'이라는 주제로 오찬 간담회를 열고 정책 개선 아이디어를 청취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접견하고 급변하는 세계질서에 관해 의견을 교환한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임철영 기자 cylim@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