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감소추세 이어지다 7·8월 두 달 연속 반등
건설업 취업자 16개월째 감소…‘불황 속 역주행’
대통령 지시 잇따라, 기업들 인력 확충 불가피
정부 ‘선임 의무 확대’ 예고…중소 건설사 인력난 우려
과거 중대재해법 때처럼 ‘채용 대란’ 재연 될수도
최근 안전관리자 채용 열기가 뜨겁다. 건설 경기 침체 속에서 올해 상반기 내내 안전관리자를 찾는 수요는 줄었는데, 최근 두 달 연속 급작스러운 반등세를 기록했다. 정부가 안전·보건관리자 선임 의무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대책을 내놓으면서 채용 수요는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 안전관리자 품귀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지난 15일 고용노동부가 안전관리자 의무 사업장 확대를 예고하면서 기업들의 안전관리자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은 폭염 속 근로자 건강 지키는 '온열질환 캠페인'을 진행 중인 한화 건설부문. 한화 건설부문.
17일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에 의뢰한 '안전관리자' 및 '안전보건관리자' 채용공고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월 2129건에 달했던 채용 공고가 12월 1596건까지 하락했다. 올해 1월에는 1466건으로 전년 대비 31.1% 급감하며 최저점을 찍었다. 이후 3월(+0.8%)을 제외하고는 6월(-6.9%)까지 줄곧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며 상반기 내내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극적인 반전은 7월을 기점으로 시작됐다. 7월 채용 공고는 전년 동기 대비 1.9%(1974건) 증가하며 성장세로 돌아섰다. 반등 흐름은 8월에도 이어졌다. 전년 대비 증가율이 2.6%(1876건)를 기록했다. 사람인 관계자는 "경기 악화로 건설 인력 채용 공고가 줄어들고 있음에도,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인 7·8월에는 안전관리자를 찾는 공고가 증가했다"며 "채용 공고의 경우 계절성 요인이 있어, 전년 동기 대비로 보는 것이 정확하다"고 설명했다.
건설업 전반에 닥친 불황과는 정반대 흐름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건설업 취업자 수는 16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8월 기준 전년보다 13만2000명이 줄었다.
고용노동부가 지난 15일 발표한 '노동안전 종합대책'으로 인해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현재 50인 이상 사업장에 한정된 안전관리자 선임 의무를 업종별 위험도 등을 고려해 단계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현재 안전관리자 채용 의무가 없는 50인 미만 소규모 현장은 '공동안전관리자'가 월 1회 이상 방문하는 방식으로 관리 사각지대를 줄인다는 구상이다.
과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전후로 안전관리자 배치 의무 기준을 확대하면서 '채용 대란'이 벌어진 적이 있다. 100억원 이상 사업장에서 의무채용을 해야 한다는 기준이 80억원 이상(2021년 7월), 60억원 이상(2022년 7월), 그리고 50억원 이상(2023년 7월)으로 단계적으로 확대된 결과다. 이번에도 안전관리자 채용 의무가 확대되면서 비슷한 상황이 재연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명기 한국건설안전학회 부회장은 "채용 의무 확대 자체는 필요하지만, 정부가 비용지원 없이 기업에 책임만 지우고 있다"며 "안정적이고 임금이 높은 대기업과 공공기관 중심으로 안전관리 인력이 쏠리면서 선호도가 낮은 중소기업의 인력난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전체 인명사고의 절반가량이 발생하는 소규모 현장에는 경험 부족 인력이나 서류상 안전관리자가 배치될 가능성이 크기에 향후 비용 보전 등 실질적인 후속 조치가 이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유교 기자 562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