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비대위원장 "소통·치유·통합 원칙"
조국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5일 "책임지고 피해자의 상처 치유, 온전한 보상, 재발 방지, 제도 개선을 하겠다"고 밝혔다.
조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첫 비대위 회의에서 성 비위 사건 피해자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한 뒤 "당이 법률적 절차와 판단에 치중해 마음을 읽지 못했다는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 저부터 통렬하게 반성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소통, 치유, 통합 세 가지 원칙 위에서 공동체적 해결을 위한 다양한 조치에 나서겠다"며 성 비위 사건 해결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는 ▲피해자 실명 거론 금지 ▲피해자에 대한 악의적 보도 대응을 위한 상시기구 출범 ▲인권 보호를 위한 상시기구 설치 등의 내용이 담겼다.
조 위원장은 "(피해자 실명 거론 금지)는 피해자가 원하는 일"이라며 "이를 존중해야 하고, 일부 언론과 유튜브의 악의적인 보도도 용납하지 않겠다"고 했다.
조국혁신당은 최근 강미정 전 대변인이 성 비위 사건 해결 과정에서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 2차 가해 등을 지적하며 탈당을 선언한 뒤 비대위 체제로 전환했다.
조 위원장은 전날 성 비위 사건 가해자로 지목돼 제명된 김보협 전 수석대변인이 성희롱·추행이 없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제명이라는 당 결정은 변함이 없다. 저희는 피해자 회복, 치유를 위해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당은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 심리치료 등 피해자 지원 대책 재검토, '공동체 회복'을 위한 당규 제정, 2차 가해 방지를 위한 '가짜뉴스 대응단' 출범을 결정했다. 대응단장은 서상범 당 법률위원장이 맡았다.
박병언 대변인은 비공개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정책 문제를 떠나서 '진심으로 진심을 얻겠다'는 기조 아래 여러 가지 토론을 하고 있다. 공동체적 해결을 위해 움직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또 "탈당한 피해자가 원할 경우 1년 내 복당이 금지된 기존 당헌·당규를 예외 적용해 즉시 당적을 회복하고 원하는 당직 또는 당무를 맡을 수 있게 할 것을 조 위원장이 지시했다"고 전했다. 비대위 출범으로 인해 변경 가능성이 제기된 11월 전당대회 일정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논의된 바 없다"며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11월 23일 준비된 대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