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가격 낮춰 서류에 적었다"…한국산 세탁기 '관세회피' 주장한 美 월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세관당국에 내용 공유
"철강 관세 탓 데이터 중복 가능성도"

미국 가전 제조 업체 월풀이 미국에 수입되는 한국산 세탁기 등 수입산 제품들이 '언더밸류(실제 가격보다 낮은 표시 금액을 서류에 기재하는 행위)' 수법으로 막대한 관세를 회피한다는 의혹을 제기했다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LG 시그니처 세탁기와 건조기가 미국 매장에 전시돼 있다. LG전자

LG 시그니처 세탁기와 건조기가 미국 매장에 전시돼 있다. LG전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월풀은 한국의 삼성전자와 LG전자, 그리고 미국 기업이었던 GE 어플라이언시즈의 현재 모회사인 중국의 하이얼 등을 상대로 의혹을 제기했다.

월풀이 수입 서류에서 생성된 연방정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미국에 수입되는 여러 가전제품의 세관 신고 가격이 올해 6월부터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고 가격이 낮을수록 관세 납부액도 낮아지기 때문에 관세를 회피하기 위해 가격을 낮게 책정했다는 지적이다.


WSJ은 월풀이 제시한 데이터를 검토한 결과 중국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평균 수입신고 가격이 올해 1~5월에는 평균 21달러였으나 6월에는 9달러, 7월에는 8달러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태국산 가스레인지의 평균 가격은 기존 가격의 절반 미만인 175달러가 됐고, 한국산 세탁기는 평균 가격이 838달러에서 그 11분의 1인 73달러로 급락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로이터연합뉴스

원본보기 아이콘

월풀은 해당 수입 가전제품들의 소매가격은 이에 상응해 하락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 제품들에는 13∼60%의 수입 관세율이 적용된다.

월풀은 이러한 내용을 미 세관국경보호국(CBP) 등 행정부 내 기관들과 공유했지만 정식 고발을 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시절 상무부에서 법무 담당 간부 출신이자 현재는 록 크릭 트레이드 파트너로 월풀에 무역 관련 법률 조언을 하는 대니얼 캘훈은 "이 행정부가 관세 회피에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처해서 미래의 잠재적 사기범들에게 메시지를 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WSJ에 전했다.


월풀의 의혹 제기에 대해 CBP는 논평을 거부했지만 필요한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언급을 사양했으며 LG전자는 모든 미국 법률과 규제를 준수한다는 방침이 확고하다고 설명했다고 WSJ은 전했다.


삼성 비스포크 세탁기와 건조기. 삼성전자

삼성 비스포크 세탁기와 건조기. 삼성전자

원본보기 아이콘

GE 어플라이언시즈는 관세 법규 준수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월풀의 주장이 부정확하다고 말했다. 예컨대 월풀은 GE 어플라이언시즈가 특정 유형의 의류 건조기를 수입했다고 주장했는데 실제로는 수입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GE 어플라이언시즈는 "우리는 경쟁을 중시하고 경쟁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유익하다고 믿지만, 월풀의 이번 공격은 자사의 뒤처진 성과에 따른 분풀이처럼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월풀은 "이들은 수입품 신고 방법을 잘 아는 매우 크고 정교한 기업들"이라며 자사의 조사 결과를 고수한다고 밝혔다.


월풀 주가는 제품 수요 부진으로 올해 들어 약 20% 하락했다. 월풀은 미국 내에서 판매하는 가전제품의 80%를 미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월풀은 과거에도 외국 경쟁사들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문제삼은 바 있다.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에는 수입 세탁기들에 대한 관세 부과를 끌어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당시 미국에 세탁기 제조 공장을 건설했다.


WSJ에 따르면 연방정부 통계에서 올해 여름 일부 수입 가전제품의 수입 대수가 크게 증가하고 표시 가격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세관업무 중개업체인 카고트랜스의 공동 최고경영자(CEO)인 넌지오 데 필리피스는 이에 대해 데이터 입력 오류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올해 6월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에 품목관세를 새로 매기며 신고 절차가 복잡해졌고, 일부 중개업체들은 제품 수량을 중복 계산했다. 이로 인해 수입 수량은 치솟고 대당 가격은 폭락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필리피스 CEO는 통계적으로 상례를 벗어난 수치가 포착되면 CBP가 중개업체들에 확인을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