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파주서 올해 첫 발생
인체감염 예방조치 강화
질병청, 현장 대응요원에 철저한
예방수칙 준수·증상 보고 당부
질병관리청은 지난 13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AI) 바이러스가 검출돼 살처분이 시행된 경기도 파주시 소재 가금농장에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현장 대응요원을 파견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는 AI 인체 감염 예방을 위한 조치로, AI는 원래 닭, 오리, 야생조류 등 가금류를 감염시켰으나 최근엔 종간벽(Interspecies barrier)을 넘어 포유동물, 사람으로 점차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25-26절기 국내 가금농장에서 H5N1형 AI 항원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며, 현재까지 국내에서 AI 인체 감염이 보고된 사례도 없다.
현장대응요원은 지자체와 협력해 농장종사자, 살처분 참여자 등 고위험군에 대해 개인보호구 착용 등을 확인하고 AI 인체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예방수칙 준수를 독려하는 동시에 발생 농장 종사자 중 유증상자 확인 등 역학조사를 실시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AI 인체감염의 증상은 발열, 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전형적인 인플루엔자 증상과 유사하다. 결막염 등 안과 증상이 동반될 수 있다. 특히 최근 국외에서 호흡기 증상 없이 경미한 안구 불편감 등으로 확진된 새로운 임상 양상이 확인된 바 있다. 게티이미지
현재까지 보고된 AI 인체감염의 증상은 발열, 기침, 인후통, 근육통 등 전형적인 인플루엔자 증상과 유사하다. 결막염 등 안과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구역·구토·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과 신경학적 증상, 폐렴이나 급성호흡기부전 등 중증 호흡기 질환도 생길 수 있다.
질병청은 농장 종사자 및 살처분 관련 작업 참여자에게 살처분 이후 AI 최대 잠복기인 10일 이내에 이같은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보건소로 신고하도록 당부했다. 특히 최근 국외에서 호흡기 증상 없이 경미한 안구 불편감 등으로 확진된 새로운 임상 양상이 확인된 바 있어 관련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신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질병청은 AI 발생 시기가 점차 확대되고 국내에서도 조류 외에 고양이, 삵 등 포유류에서 AI가 발생한 상황을 반영, 특별방역대책 기간에만 운영하던 'AI 인체감염증 대책반'을 올해부터 상시 운영체계로 전환했다. 또 유관부처 및 지자체와 협력을 강화해 적극적인 AI 인체 감염 예방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의심환자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항바이러스제 처방, 격리 등의 관리체계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대비 중이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그간 철저한 관리로 아직 국내 조류인플루엔자 인체 감염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해외에선 동물과 사람 감염이 지속해서 보고되고 있다"며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과의 접촉은 최대한 피하고, 접촉할 경우 개인보호구를 철저하게 착용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