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나라로 다시 유학 준비하기도
지난 6월 미국 정부가 19개국 국민 입국 금지 조치를 발표하며 대학 새내기들이 어려움에 빠졌다.
13일(현지시간) AP통신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이란 등 19개국 국민의 학생 비자 발급을 중단하고 입국 금지 조치를 시행하면서 대학에 합격하고도 미국에 오지 못해 입학하지 못하는 대학 신입생이 속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조처는 특히 대학 입학을 앞두고 신규 비자 발급이 필요한 유학생들을 직격했다. 미국 정부가 기존 발급받은 비자가 있는 경우에만 입국을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번 조치로 얼마나 많은 외국인 학생이 미국 대학에 입학하지 못했는지를 알 수 있는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지난해 5~9월 미국 국무부의 F-1(학생), J-1(교환 방문자) 비자 총 발급 건수 가운데 이번에 입국 금지 대상에 오른 국가 국민이 5700명이었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비슷한 규모의 외국인 학생이 미국에 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산해볼 수 있다.
미국에 입국하지 못한 외국인 신입생들은 다시 다른 나라로 유학 준비를 하거나 입학 연기 신청을 하고 입국 제한 조처가 풀리기를 무한정 기다리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에 사는 21살 바하라 사가리는 탈레반 정권이 여성의 대학 진학을 금지하자마자 미국 유학을 결심하고 미국 일리노이주(州)에 녹스 칼리지에 입학할 기회를 얻었지만, 입국 금지 조처로 9월부터 시작되는 새 학기 캠퍼스 생활을 시작하지 못했다. 사가리는 녹스 칼리지에 입학 연기 요청을 했으나 거절당했고 등록금 선납 조건으로 폴란드에 있는 한 대학에 입학 허가 답변을 받은 뒤 지원서 검토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란인 푸야 카라미(17)는 피츠버그 주립대에서 고분자 화학을 공부할 예정이었으나 미국 입국이 무산되자 일단 입학을 내년으로 연기하고 언제 다시 시작될지 모르는 비자 면접을 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카라미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을 모든 것을 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 6월 트럼프 행정부는 테러 가능성과 공공 안전 위험 등을 이유로 ▲이란 ▲예멘 ▲아프가니스탄 ▲미얀마 ▲차드 등 12개국 국민의 비자 발급을 거부하고 이들의 미국 입국을 전면 금지했다. 또 ▲베네수엘라 ▲부룬디 ▲쿠바 등 7개국은 ▲학생 ▲교환 방문자 ▲관광 비자 등 특정 비자에만 발급을 중단하고 입국을 금지했다.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오늘이 가장 싸다" 보름 만에 120% 급등…돌풍 예고한 엘앤씨바이오[이주의 관.종]](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1615545435328_175800569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