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유튜브 수익 중단 전한길 "민감한 문제? 실체 알렸을 뿐인데"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유튜브 '민감한 사건' 사유로 수익 정지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전한길 뉴스'가 구글코리아로부터 수익 창출 중단 처분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 씨는 13일(현지시간)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루스포럼 행사 연설에서 "제가 운영하고 진행하고 있는 전한길 뉴스가 수익 정지 명령을 받았다"며 "민감한 문제 때문에 수익 정지를 시킨다는데 저 전한길은 지금까지 '꿈에라도 거짓말하지 말라'는 도산 안창호 말씀대로 정직한 보도를 했다"고 주장했다.

전한길(본명 전유관)씨. 연합뉴스

전한길(본명 전유관)씨.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트루스포럼은 국내 강경 보수 성향 청년단체로 알려졌다. 이날 포럼에는 한국계 미국인 모스 탄 리버티대 교수, 고든 창 변호사 등이 참석해 이재명 대통령 비판, 부정선거론 등을 주장했다.


이어 그는 "아마도 이재명에게 잘못된 걸 잘못됐다고 말하고 비판할 걸 비판하니까 그게 민감한 문제인가 보다. 트럼프 대통령님, 그리고 구글 본사 보고 있나. 대한민국 구글코리아를 좌파가 장악했는지 보수 유튜버를 탄압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한길은 불법행위를 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한 적도 없다"며 "다만 이재명과 위성락, 조은석과 이런 인간들이 행하는 짓에 대해 실체 알렸을 뿐이고 진실 알렸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유튜브 '전한길 뉴스' 캡처

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 유튜브 '전한길 뉴스' 캡처

원본보기 아이콘

유튜브는 전씨의 채널을 '민감한 콘텐츠' 정책 위반으로 판단해 수익 창출을 중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튜브 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보면 민감한 사건으로부터 이익을 얻거나 이를 악용하는 콘텐츠의 경우 수익을 창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전씨가 '자율 구독료'를 명목으로 채널에서 후원받고 있어 수익 창출이 완전히 차단된 것은 아니다.


국내 정치권에선 전씨를 향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이 "미국 망명 제안을 받았다"고 거듭 밝힌 극우 성향 전직 한국사 강사 전씨에 대해 "어떤 망령에 휩싸여 망명이라 생각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25일 미국 워싱턴D.C.로 출국한 이후 미국에 머무는 전씨는 지난 8일 자신의 유튜브 방송에서 "저보고 현재 망명하라, 미국 내부에서 저보고 망명하는 게 낫지 않겠는가 이런 제안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에는 자신에 대해 부정적 발언을 한 김 의원 등을 언급하며 "망명 신청하라고, 해주겠다는 인물이 (정말로) 몇 명 있었다"며 "캘리포니아 주지사 후보 나온 분"이나 "엄청난 재력가인 한인 교포"를 언급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