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보고서
유통비용, 10년 새 4%P 높아져
국내 농산물 소비자 가격에서 생산자가 받는 금액을 제외한 '유통비용'이 절반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은 49.2%로, 10년 전인 2013년(45.0%)보다 4.2%P 높아졌다. 소비자가 농산물 1만원어치를 구매했다면 유통업체들이 이 중 4920원을 가져가는 셈이다.
유통비용률의 상승 폭은 20여년 전과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이는 1999년 38.7%에서 10%P 넘게 올라갔다. 다만 2023년 유통비용률은 전년보다 0.5%P 낮아졌다. 이에 대해 aT는 "이상기후로 작황이 부진해 생산자 수취가격 상승 폭이 소비자가격 상승 폭보다 높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통비용은 품목별 편차도 컸다. 쌀과 같은 식량작물은 35.9%로 비교적 낮았으나 양파·대파 등 조미채소류는 60.8%, 배추·무(엽근채소류)는 64.3%에 달했다. 세부 품목 중 월동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의 품목은 70%를 웃돌았다. 과일류와 과채류, 축산물은 50% 안팎이었다.
정은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유통혁신연구실장은 "무·배추는 유통 비용률이 70% 되는 것도 있다"면서 "신선도 때문에 유통기한이 짧을수록 유통 비용률이 더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실제 생산자가 가져가는 몫은 유통비용 수치로 드러난 것보다 훨씬 적다고 지적했다. 정 실장은 "우리나라는 상품의 등급을 세분화해 경매하다 보니 제대로 상품으로 출하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며 "전체 소비자가격에서 생산자가 가져가는 비중이 가장 낮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통비용이 높아진 데에는 인건비 상승과 함께 유통 이윤 자체 증가도 영향을 미쳤다. 유통비용에서 직접비와 간접비를 제외한 이윤은 지난 2023년 14.6%로 10년 전보다 1.2%P 높아졌다. 한국은행도 지난해 보고서에서 "농가 판매가격의 누적 상승률이 소비자 가격 상승률에 비해 낮고 그 격차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영세한 생산 농가와 비교해 도매업체나 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큰 상황"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정부는 유통구조 개선에 나섰다. 이재명 대통령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우리나라 식료품 물가가 높다"면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모두 체감할 수 있도록 불합리한 유통 구조 개혁에 속도를 내달라"고 지시했다. 농식품부는 농산물 유통구조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온라인 도매시장 중심으로 유통구조를 전환하고, 거래 참여 자격 기준도 완화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