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중소도시 소멸 위기…15개 시군구, 20년 뒤 일할 사람 '1만' 아래로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한은, BOK경제연구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 교수와 함께 분석
청년 대도시 유입으로 경제활동인구 격차 확대
"청년층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 찾을 여건 마련해야"

청년층의 대도시 유출 현상이 지속되면 앞으로 20년 안에 일할 사람이 1만 명도 없는 지자체가 15곳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14일 공개한 BOK 경제연구 '인구변화가 지역별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가 1만명을 밑도는 시군구는 현재 없지만, 2032년 1곳이 생겨나고 2042년에는 15곳(전체 229곳의 6.6%)에 달할 전망이다. 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을 뜻한다.

중소도시 소멸 위기…15개 시군구, 20년 뒤 일할 사람 '1만' 아래로
AD
원본보기 아이콘

전체로 보면 2042년 229개 시군구 중 90%에 육박하는 198곳에서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5개 시군구에서 경제활동인구가 30% 이상 감소하고, 31곳에서는 50% 이상 급감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하는 생산연령인구는 향후 20년 안에 단 9개 시군구만이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추세가 이어진다면 경제활동인구는 갈수록 지역별 양극화가 심화할 전망이다. 추계 결과, 경제활동인구 30만명 이상인 시군구는 현재 18개에서 2042년 21개로 오히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경제활동인구 상위 10%와 하위 10% 지역 간 격차는 13.4배에서 26.4배로 확대되며, 지니계수도 0.49에서 0.56으로 높아진다.


이런 현상은 연령별 인구이동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이 중소도시에서 대도시로, 인구 감소도시에서 증가도시로 이동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지역별 양극화를 고착화한 것이다.


시나리오 분석 결과, 청년층의 대도시 이동이 줄면 경제활동인구 불균등 추세는 완화되는 것으로 예측됐다. 동시에 확대되고 있는 장년층의 중소도시 이동을 촉진하는 것도 불균형 확대를 막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정종우 한은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청년층의 대도시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보충적으로 장년층의 중소도시 유입을 촉진하는 것이 지역 간 노동인구 불균형 확대를 막는 데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수준 높은 교육문화 인프라와 양질의 일자리가 갖춰진 지역 거점도시 육성을 통해 청년층이 지방에서도 경제적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한다면 현재의 지역 간 청년 인구이동 차이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의 장년 인구를 대상으로 경제적 유인책 제공, 복지의료 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대도시에서 중소도시로의 이동을 장려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