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저층 주거지 및 정비기반시설 개선
임대주택 총 796가구 포함…"주거안정 기여"
서울 강북구 미아동·구로구 구로동 등 노후 주거지 4곳에 4093가구 규모의 모아주택이 공급된다.
서울시는 제13차 소규모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에서 강북구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외 안건 3건을 통과시켰다고 12일 밝혔다.
통과된 안건은 ▲강북구 미아동 90-45 일대 모아주택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 모아타운 ▲서대문구 홍은동 10-18 일대 모아타운 ▲중랑구 망우3동 474-29 일대 모아타운으로 사업추진 시 모아주택 총 4093가구(임대 796가구 포함)가 공급될 예정이다.
미아동 90-45번지 일대 모아주택 사업으로 4개동 지하 2층에서 지상 16층 공동주택이 조성된다. 기존 105가구에서 175가구(임대주택 35가구 포함)로 주택공급이 67% 확대된다. 이 사업은 전체 가구의 20% 이상을 임대주택으로 건설하고 정비기반시설 제공에 따른 용적률 완화(200%→249.91%)를 적용받는다.
특히 보도와 차도가 분리되지 않았던 기존 6m 이하 도로에는 부지 내 확보되는 대지 안의 공지 2m를 활용한 보도를 신설한다. 인근 송중초등학교 남측에는 공원을 조성해 환경 개선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사업 완료는 2030년으로 계획됐다.
구로구 구로동 511 일대 모아타운에는 모아주택 4개소를 추진해 기존 1156가구에서 늘어난 총 1317가구(임대 213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노후 건축물이 밀집되고 주차장 등 기반시설이 부족했던 이 지역은 용도지역 상향(제2종→제3종 일반주거지역) 등을 포함한 이번 계획으로 사업성을 확보했다.
주민 편의를 위해 주거지와 구로동로 40길을 공공보행통로로 연계하고, 주통학로인 구로동로 40길에 보행공간을 넓혀 통합보행녹도로 조성한다.
이 외에도 시는 서대문구 홍은동 10-18번지 일대는 모아타운 사업으로 기존 140가구에서 181가구 늘어난 321가구(임대 38가구 포함)를 2030년까지 공급한다. 노후건축물 비율이 78.3%, 반지하 주택 비율이 41.7%에 이르는 저층 주거밀집지역이다. 지역 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정비기반시설 계획도 포함됐다. 해당 지역은 북한산과 홍제천 인근으로 쾌적한 생활환경이지만 광역적 개발이 어려워 개발이 정체된 상태였다.
중랑구 망우3동 474-29번지 일대 모아타운은 모아주택 4개소 추진을 통해 총 2280가구(임대 510가구 포함)가 공급된다. 이번 계획은 기존 제1종, 제2종(7층 이하),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혼재돼 있던 용도지역을 전체 제3종일반주거지역으로 상향해 사업성을 높였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이번 모아주택·모아타운 4개 지역 확정으로 주거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4093가구 주택공급으로 주거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며 "임대주택 796가구를 포함한 공공성 강화와 도로 확폭, 보행로 신설 등 정비기반시설 확충으로 지역 전체의 발전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마포·성동·과천·분당 날벼락…'15억 이하' 아파트 李 대통령 발언에 '긴장'[부동산AtoZ]](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1214474130980_1757656060.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