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고위 인사 잇단 접촉
관세 휴전 종료 이전 유력
관세 협상·펜타닐·틱톡 등
미해결 쟁점 조율 전망
미·중 고위 관료들의 잇단 회동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르면 다음 달 정상회담을 가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중국 전승절 이후에도 미·중 간 무역·안보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 회담이 양국 간 갈등을 봉합할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오는 11월10일 종료되는 '관세 휴전' 이전에 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핵심 의제는 무역 협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1일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인사들이 이번 주 연쇄 접촉을 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방중 시점은 빠르면 오는 11월 초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전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이번 주 미국과 중국 당국자 간에 고위급 외교가 이어지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다음 달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이 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은 지난 10일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과 전화 통화를 했다. 중국 외교부는 "양국 외교장관은 이번 통화가 시의적절하고 필요하며 효과적이었다고 평가했다"고 밝혔다. 이번 접촉은 최근 시 주석이 베이징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열어 글로벌 리더십 의지를 과시한 직후 이뤄졌다.
두 사람 간 통화는 지난 7월 말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시아국가연합) 외교장관 회의에서 두 사람이 첫 대면 회담을 한 지 약 두 달 만이다. 이보다 앞서 지난 9일에는 미·중 간 군사 채널을 통한 소통도 이뤄졌다. 중국 국방부는 둥쥔(董軍) 중국 국방부장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9일 저녁 처음으로 화상 통화를 했다고 발표했다.
외교·군사 분야에서 이어지는 고위급 대화가 미·중 정상회담을 앞둔 사전작업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라이언 페다시우크 미국 기업연구소(AEI) 연구원(전 국무부 중국 담당 보좌관)은 "이번 회동은 올해 말 정상회담을 위한 필수적인 사전 작업"이라며 "관세, 펜타닐, 틱톡 소유권 문제 등 미해결 쟁점에 대한 조율이 더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양국 정상의 만남이 성사될 경우, 이는 2023년 11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APEC 회담 당시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의 만남 이후 약 2년 만이다. 집권 2기의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 재회하는 것은 약 6년 만이며, 미·중 관세전쟁이 본격화된 이후로는 처음이다.
이번 회담에서는 오는 11월까지 유예된 추가 관세 협의가 핵심 의제로 논의될 전망이다. 중국이 희토류 공급망을 지렛대로 활용해 미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은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하자 보복관세로 맞대응하는 동시에 미국 방위산업에 필수적인 희소금속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지난 6월 관세 휴전 합의 이후 일부 규제를 완화했지만 군수용 부문 수출은 여전히 강력히 통제하고 있다.
첸치 칭화대 국제관계학 교수는 "만약 미국이 추가 조치를 취한다면 중국은 희소금속 수출 규제를 강화해 대응할 수 있다"며 "양측 모두 일방적으로 상대를 압박할 수 있는 수단은 이미 대부분 소진된 상태"라고 진단했다.
우신보 상하이 푸단대 미국학연구센터 소장은 "희소금속은 올해 중국이 미국을 겨냥해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한 카드"라며 "트럼프 대통령이 가장 경계하는 부분 가운데 하나"라고 평가했다.
남중국해와 대만 문제 역시 미·중 간 최대 갈등 요인으로 꼽힌다. 중국은 대만을 무력으로라도 통일해야 할 '중국의 일부'로 규정하고 있다. 미국은 대만 독립을 공식 인정하지 않지만, 무력 침공에는 반대하며 대만에 방위용 무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중국의 반발을 사고 있다. 마보 난징대 국제관계대학원 교수는 "남중국해의 해상 안보가 미·중 대화에서 중요한 주제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본사에서 이거 내라, 저거 내라" 수수료 끝판왕…치킨집 하면 낼 돈만 3500만원 [Why&Next]](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815485324116_1757314133.pn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