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사진 찍으면 칼로리 계산해주는 앱 개발
월 140만 달러 매출 기록
람보르기니 타고 수업 가는 모습 SNS서 화제
미국의 한 10대 청년이 인공지능 기반 칼로리 계산 앱을 개발해 월 140만 달러(약 19억5000만 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스타트업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CNBC는 6일(현지시간) '칼 AI(Kal AI)'를 개발한 잭 야데가리(18)의 성공 스토리를 집중 조명했다. 칼 AI는 사용자가 음식 사진을 올리면 AI가 자동으로 칼로리를 분석해주는 서비스로, 약 90%의 정확도를 자랑한다.
지난해 5월 출시된 앱은 단숨에 입소문을 타며 성공 가도를 달렸다. 출시 이후 첫 달에만 2만 8000달러의 수익을 올렸고, 현재까지 누적 다운로드 수는 830만 건을 넘어섰다. 월 구독료는 2.49달러, 연간 요금은 29.99달러로 책정돼 있으며, 앱스토어 수수료를 제외한 월 수익은 약 140만 달러에 달한다. 직원 규모도 30명 수준으로 확대됐다.
야데가리는 고등학생 시절 뉴욕주 로즐린의 부모님 집에서 이 앱을 개발했다. 그는 "학교 여학생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려고 운동을 시작했는데, 기존 칼로리 추적 앱들이 모든 음식을 수동으로 입력해야 해서 번거로웠다"고 앱 개발 배경을 설명했다. 이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코딩 캠프에서 만난 헨리 랭맥,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알게 된 블레이크 앤더슨, 제이크 카스틸로 등과 팀을 꾸려 칼 AI를 공동 개발했다.
그의 개발 이력은 어린 시절부터 이어졌다. 7살 무렵 어머니의 권유로 참가한 코딩 캠프를 시작으로, 유튜브 강의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독학으로 실력을 키웠다. 고등학생 시절에는 학교의 네트워크 차단을 우회해 접속 가능한 게임 웹사이트 '토털 사이언스(Total Science)'를 만들었고, 이 사이트는 지난 2월 약 10만 달러에 매각되기도 했다.
성공 스토리와 함께 야데가리의 라이프스타일도 화제를 모으고 있다. SNS에는 그가 람보르기니를 타고 수업에 가는 모습이나, 저택에서 친구들과 파티를 즐기는 장면 등이 공유되며 눈길을 끌었다.
야데가리는 지난 8월 미국 마이애미대 경영대학에 입학했지만, 학업 대신 창업에 집중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칼 AI를 "업계 최대 칼로리 추적 앱으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 업계 1위인 '마이피트니스팰'의 2억 7000만 사용자 수를 뛰어넘는 것을 장기 과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향후 계획에 대해 그는 "2년 안에 회사를 매각하거나 경영권을 넘기고, 완전히 새로운 AI 스타트업에 도전할 계획"이라고 했다. 또한 "창업에서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며 "실력이 관건이고, 최종적으로는 시장이 성패를 가른다"고 자신의 철학을 밝혔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미용실 대신 다이소 간다…"커트 한번에 2만원" 미용료 부담에 '셀프' 확산[주머니톡]](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2070621200340553_1657110003.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