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국회 세미나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을 둘러싼 인증체계나 표준화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전국 자율주행 시범지구를 일원화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현재 시범지구가 보여주기식 실증에 그친 데다 기업별로 따로 수집한 데이터 호환이 어려워 상용화가 더뎌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신동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 부회장(국립한국해양대 교수)은 10일 열린 국회 세미나에서 "전국의 자율주행 시범지구를 '국가 AI 차량 인증시험 플랫폼'으로 전환해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한편 데이터 표준화, 인증 허브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날 세미나는 자율주행 인증체계와 이를 위한 정책을 주제로 열렸다.
현재 서울 상암을 비롯한 전국 곳곳에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가 지정돼 있다. 안전기준을 일부 면제하는 등 규제특례를 적용받는 곳으로 정부와 지자체간 협의체를 통해 운영한다. 다만 실제 서비스가 되지 않는 지역도 있는 데다 데이터 관리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신 부회장은 이러한 시범지구를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하는 게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모든 시범지구를 가상공간에 복제, 실 도로에서 모두 구현하기 힘든 수만 가지 위험 시나리오를 시연해볼 수 있다고 봤다. 일원화한 시범지구에서 운행하는 자율차의 운행 데이터를 국가 표준에 따라 수집·관리하는 '데이터 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향후 운전자가 필요 없는 레벨4 수준의 운행을 허가할 때 이러한 플랫폼을 통과하는 식의 제도를 설계하자고 제안했다.
이러한 구상을 실현한다면 기관·기업별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봤다. 현재는 연구·개발 단계의 자율주행 차량마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가 다르고 표준이 없어 각기 수집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했다고 한다. 중소·스타트업의 테스트 장벽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세계 수준의 국가 인증 인프라 확보도 가능하다는 게 신 부회장의 주장이다.
차량 인증체계의 경우 안전과 직결돼 있다. 자율주행의 경우 이제 막 기술이 도래된 만큼 인증 시스템이나 평가방법을 둘러싼 논의도 한층 활발해졌다. 자동차 관련 국제 규제기준을 논의하는 UN 유럽경제위원회(UNECE) WP.29에서는 산하에 GRVA나 별도 전문가그룹을 새로 만들어 구체적인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자동차모빌리티안전학회가 주로 참여한다.
신 부회장은 "우리도 자동차안전연구원 등과 함께 '팀코리아'를 구성해 WP.29 논의에 전략적으로 참여해 5G 통신·반도체 등 우리 강점을 활용한 인증 기술을 국제 표준으로 제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도 자율주행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다각도로 지원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정완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교통실장은 이날 토론에서 "자율주행 통합실증을 위한 리빙랩이 완공되는 만큼 내년부터 데이터 수집·분석에 한층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특화형 실증도시, 데이터 공유 통합플랫폼, 대중교통 연계 자율주행서비스 등을 내년에 연구개발 과제로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최윤석 산업통상자원부 미래모빌리티 팀장은 "자율주행 서비스 기업도 살아남기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가능한 허브 기업이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화웨이 등 중국을 비롯한 주요 해외사례를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임월시 국토교통부 자율주행정책과장은 "일상에서 자율주행 차량을 쉽게 접할 수 있는 대표 도시를 보다 확산시켜서 체감형 자율주행 서비스를 늘리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잡고 있다"고 말했다.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AI 자율주행 레벨4'를 주제로 한 국회 세미나가 열렸다. 국회 국토교통위원으로 있는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보건복지위원으로 있는 김예지 국민의힘 의원이 참석해 향후 입법, 예산 지원을 약속했다.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