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입장에서 '맞춤형 서비스' 선봬
코레일이 철도 이용객 편의 강화를 위해 좌석 변경·환승·택배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잇달아 내놓는다.
코레일은 올해 안에 열차 출발 뒤에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코레일톡'으로 빈 좌석을 확인해 바로 바꿀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그동안은 출발 직전 원하는 좌석을 확보하지 못했거나 창가·동반석 등으로 바꾸려면 승무원을 불러야 했지만 앞으로는 승객이 직접 앱에서 처리할 수 있다.
오는 11월부터는 환승역과 환승 열차를 고객이 직접 고를 수 있는 'DIY(Do It Yourself, 직접 만들기) 환승 서비스'를 시작한다. 지금까지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환승역과 시간을 정해줬지만 앞으로는 이용자가 원하는 환승역을 지정하고 환승 시간이 10~50분 사이인 열차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10월 말부터는 주요 기차역에서 일반 요금의 절반 수준(2500원)으로 택배를 보낼 수 있는 '레일택배' 서비스도 시행한다. KTX역 8곳(용산·청량리·대전·부산·동대구·전주·강릉·여수엑스포)과 수도권 전철역 4곳(신도림·가산디지털·노량진·회기)에서 우선 운영된다. 도서·산간을 제외한 전국으로 하루 만에 배송돼, 여행지에서 산 특산품을 집으로 바로 보낼 수 있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고객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개선으로 철도 이용 만족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작지만 고객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