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연봉 9000만원 주고 써도 불안"…'베테랑 인력난' 美공장, 비자개선 없으면 또 멈춘다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전문가 없고 단순 보조인력뿐
인건비 2배·숙련도 낮아 품질 불안
공장 농촌지역, 인력수급 한계

비자 계약 풀리지 않으면
초반 공정부터 차질 불가피
구금사태 이후 인력난 빠져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체포 사태 이후 현지 공장을 가동하는 기업들이 당장 인력난에 빠졌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외국 전문가가 미국 인력을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기업들은 현실을 모르는 요구라는 반응을 내놓고 있다. 초기 공장 가동은 숙련 기술 없이는 불가능한데다 현지 인력 고용과 교육까지 동시에 맡는 것 역시 어렵다는 입장이다.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인건비는 2배, 숙련도는 부족

미국 조지아주 LG에너지솔루션 공장 프로젝트에 참여한 협력사 대표는 10일 본지에 "비자를 갖춘 인력을 구해도 보조 업무자 수준이 대부분"이라며 "전문가는 찾기 힘들고, 단순 보조 인력만 구인 시장에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인력의 경우 시급 35달러 수준이지만, 현지 인력은 시간당 45~60달러를 요구한다고 했다. 단순 보조 인력도 현지 채용은 시급 35달러 수준이다. 그는 "현지 인력은 능력은 부족한데 비용만 비싸고, 근무 태도와 기강 문제까지 있어 안정적 채용이 힘들다"고 했다.

장비 설치와 라인 세팅 같은 초기 공정에서는 숙련도 부족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게 업계의 공통적인 평가다. 또 현지 신규인력을 대상으로 교육해도 이해도가 낮아 즉시 투입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LG에너지솔루션 프로젝트에서 한국 직원들이 대거 단속에 적발된 것도 외관 공사가 마무리되고 생산 설비 반입과 라인 설치, 시운전 준비 등이 진행되는 단계였기 때문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공정 단계는 클린룸 조성과 전력·배관 연결, 정밀 캘리브레이션이 병행되는 까닭에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해 한국인 근로자가 많았다는 얘기다.


배터리 소재사 관계자는 "합성 과정은 고객사가 요구하는 스펙에 맞춰야 하는데, 균일한 품질은 최소 1년의 경험이 쌓여야 확보된다"며 "미국 인력은 가르쳐 놓으면 그만두는 경우가 많아 적응력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현지 인력은 잦은 이탈에다 기강도 잡히지 않아 품질 관리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한국 초임은 4000만원대(약 2만8800달러)지만 미국인은 연봉 6만5000달러(9027만원) 이상을 줘야 한다"면서도 "단순한 인건비 차이보다 품질·납기 불안이 더 큰 문제"라고 했다.

"연봉 9000만원 주고 써도 불안"…'베테랑 인력난' 美공장, 비자개선 없으면 또 멈춘다 원본보기 아이콘

공장은 외딴 지역에, 인력 수급은 한계

한 대기업 임원은 "일단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우리 기업이 세우는 미국 공장은 대체로 젊은 인력이 드문 농촌지역에 들어서 있다"며 "애초 숙련 인력이 없는 동네에 공장을 지으라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은 대규모 제조공장을 지어본 지가 오래돼 경험 있는 사람이 없다"며 "미국인 대다수는 농업이나 서비스업 종사자라서 공정 경험 자체가 없다"고 했다. 그동안 우리 기업은 그나마 필요한 인력은 남미에서 조달해왔지만, 이번 LG에너지솔루션 구금 사태로 비자길까지 막히면서 이마저도 차질을 빚고 있다고 그는 토로했다.


또 다른 대기업 관계자도 "미국 중서부 지역에 신규 패키징 팹을 준비 중이지만 아직 착공 전 단계라 인력 운용 방안을 두고 고민이 깊다"고 했다. 이 회사는 현재 최소한의 사무 인력만 현지에 투입해 부지 정리와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본격적인 착공에 들어가면 수백명 규모의 숙련 인력이 필요해지는 만큼, 현지 채용만으로는 인력을 충원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그는 "비자 제약이 풀리지 않으면 초반 공정부터 차질이 불가피하다"며 "사람이 없으니 계약부터 흔들린다"고 했다.


오경식 변호사(덴톤스 리 법률사무소)는 "큰 기업들도 미국 현지 인력 관리가 까다롭다는 이유로 건설은 외주를 주는 경우가 많다"며 "영세 협력사 입장에서는 높은 인건비와 관리 부담 때문에 현지 엔지니어 채용을 꺼린다"고 했다. 오 변호사는 "일부 기업이 재미교포 채용이나 최소 규모의 현지 인력 활용을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해법은 없는 상태"라고 부연했다.


업계는 이번 단속과 구금 사태가 보여주듯 비자 문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라는 입장이다. 해법 없이는 초기 공장 가동부터 흔들릴 수 있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비자 문제 해결 없이는 납기 차질과 계약 불이행이 불가피하다"며 "수십조 원을 투자해도 현장에서 일할 사람이 없다면 결국 투자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한국 정부도 미국에 분명히 요구해야 한다"며 "공급망 협력과 동맹을 말하면서 정작 비자는 막아버리면 기업 입장에선 잠재적 리스크일 뿐"이라고 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