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꾸리기로…다만 비정례화
정청래 "李 하모니메이커"…악수에 큰 의미부여
이재명 대통령과의 오찬에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가 처음으로 손을 맞잡으며 여야 협치의 물꼬를 텄다. 여야 민생경제협의체를 꾸리기로 한 만큼 야당 대표가 요청할 경우 여당에서는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겠다는 계획이다.
8일 이 대통령과 여야 당대표의 오찬 회동 이후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생경제협의체가 심도있게 논의되려면 여야가 정기적으로 만나야 하지 않냐'는 말에 "당연히 그렇다"고 답했다. 박 수석대변인은 "발표 내용 중 야당 대표가 요청할 경우 적극적으로 만남을 수용하도록 노력한다는 취지의 내용이 있었다"며 "민생경제협의체는 각 단위 실무협의체로 진행할 예정이라는 내용이 있는데, 어떤 실무 단위일지는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했다.
협의체를 정례화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선 "옛날엔 정례화를 해왔지만, 정국 상황에 따라 지켜지지 않음으로써 국민에게 실망을 드리고 정치적으로 부담이 된 것도 사실"이라며 "야당 대표의 요청이 있을 시 그 요청을 가급적 잘 수용하는 형식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앞서 여야 수석대변인은 진행한 오찬 관련 공동 브리핑에서 "여야 대표는 가칭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협의했다"며 "이는 장 대표가 제안했고 이 대통령·정 대표께서 적극 화답 및 수용해 성사됐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은 "여야 공통공약을 중심으로 야당이 먼저 제안하고 여당이 응답해 함께 결과를 만들면 야당엔 성과, 여당엔 국정의 성공이 되는 게 아니겠느냐"는 취지로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은 여야 당대표가 처음으로 악수를 한 것에 대해 크게 의미 부여했다. 정 대표는 공개된 오찬 모두발언에서 한미정상회담에서 언급됐던 '피스·페이스메이커'를 차용해 여야 당대표의 만남을 주도한 이 대통령을 하모니메이커로 치켜세운 바 있다.
박 수석대변인은 "'하모니'라는 단어엔 여야 대표로서 여야가 적극적으로 조화·협치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게 아닌가 싶다"며 "또 그 말에는 경색된 정국을 풀 책임이 여당 대표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이 풀게 한 것에 대해 감사함과 죄송함이 함께 담긴 듯하다"고 해석했다.
그러면서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의 발표문에서 회담 분위기가 '허심탄회'했다고 돼 있는데, 여당 대변인으로서는 '화기애애' 했다고 하고 싶다"며 "화기애애와 허심탄회는 동의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여야 소통에 대해) 국민의 기대가 컸던 만큼 정치권에서는 그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는 부담도 생긴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대통령을 제외한 여야 당대표의 만남 계획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박 수석대변인은 관련 질문에 "오늘 막 약혼했는데 결혼반지 사달라는 느낌"이라며 "오늘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했으니 작은 것부터 잘 풀어가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잘나가는 '한국산' 싹 베껴 팔아버리네…'11조 피해' 중국 브로커들에 다 뺏긴다[짝퉁의 공습]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314345718014_17568776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