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라마 회당 제작비는 20억원 달해
일본 드라마 한국 드라마 제작비 절반에 불과
韓 콘텐츠 인기에 배우 간 출연료 격차 심화
한국 주연급 톱배우의 넷플릭스 회당 출연료가 3억~5억원에 달하는 등 출연료가 폭등하자, 일본 배우들도 인상 요구에 나섰다. 지난 4일 넷플릭스 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야마다 타카유키는 일본 배우들을 대표해 출연료 인상을 요구했다. 야마다 타카유키는 이날 "일본 배우들의 출연료를 조금은 올려줬으면 좋겠다"며 "물론 넷플릭스의 개런티는 다른 영화에 비해 좋은 편이다. 하지만 일본 배우들은 여전히 광고(CM)에 의존해야 하는 구조다. 연기로, 본업으로 충분히 벌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넷플릭스가 일본 배우와 비교해 한국 배우의 출연료를 많이 주는 것은 효과가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넷플릭스 실적을 견인하면서 수억대 출연료가 아깝지 않다는 평가다. 넷플릭스 올해 2분기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15.9% 증가한 110억7900만 달러(한화 약 15조4400억 원)였으며, 영업이익은 무려 45% 증가한 37억7000만 달러(한화 약 5조2489억 원)에 달했다. 넷플릭스가 공개한 '올해 상반기 글로벌 시청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가 상위권에 대거 이름을 올렸다. '오징어 게임 2' 상반기 최다 시청 시리즈 2위, '오징어 게임 3'은 3위를 차지했다. '폭싹 속았수다'는 상반기 3500만회의 시청 수, '중증외상센터'는 3400만회, '약한 영웅 1, 2' 각각 2200만회, 2000만회로 총 4200만회의 시청 수를 기록했다. 여기에 최근에는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한국 콘텐츠의 인기가 일본을 압도하면서 정서가 비슷한 한국과 일본 배우 간의 출연료 차이도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일본 TV 드라마 제작비 현황'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주인공은 회당 1000만엔(약 9300만원) 이상 받기도 하지만, 한국과 비교하면 적게는 3~4배, 많게는 10배 가량이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폭싹 속았수다'는 600억원, '오징어 게임 3'은 1000억원의 제작비가 들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주연 배우들의 출연료도 역대급이다. 한국의 회당 드라마 제작비는 20억원이 기본이 됐지만, 일본은 아직 그 절반인 10억원이면 충분하다.
"회당 출연료 최대 4억" 넷플릭스, 배우 출연료 상한선 정해
콘텐츠 제작에 큰 몫을 차지하는 것 중 하나는 배우 출연료다. OTT 서비스가 등장하기 이전 드라마 회당 평균 제작비는 3~4억원이었다. 적은 금액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제작사나 방송사 측에서 크게 부담스러운 금액은 아니었다. 무엇보다 해당 금액 안에서 배우의 출연료도 지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이후 회당 제작비는 평균 20억원에 상회하고 있다. 유명 배우들이 OTT로 이동하며 몸값이 치솟은 결과다. 물론 넷플릭스 측도 해당 비용을 지급하며, 그만큼의 효과를 보기도 했다. 문제는 이러한 넷플릭스의 출연료 정책이 온라인동영상 서비스(OTT)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나 넷플릭스가 한국에 진출한 이후 회당 제작비는 평균 20억원에 상회하고 있다. 유명 배우들이 OTT로 이동하며 몸값이 치솟은 결과다. 사진은 기사의 특정 내용과 관련 없음. 픽사베이
원본보기 아이콘제작비가 크게 오르면서 국내 제작사는 콘텐츠 제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폭등한 제작비를 감당하지 못해 국내 OTT와 방송사는 드라마 제작 편수를 줄이고 있다. 2022년 141편에서 2023년 123편, 지난해에는 100여편, 올해는 80여편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톱배우의 출연료가 급등하면서 심각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며 "과거 일본 한류나 중국 한류와 비교해 OTT 한류는 유명 배우들의 높은 출연료 때문에 실제작비가 적정 제작비를 큰 폭으로 상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우들의 출연료는 넷플릭스 측에서도 큰 부담이다. 이에 톱배우들의 출연료가 끝을 모르고 오르자 결국 넷플릭스 측도 칼을 빼 들었다. 최근 배우 출연료를 회당 최대 4억원으로 상한선을 책정한 것이다. 이 또한 적은 금액이 아니지만, 끝을 모르고 치솟던 출연료에 제동을 걺으로써 콘텐츠 제작비를 낮출 전망이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잘나가는 '한국산' 싹 베껴 팔아버리네…'11조 피해' 중국 브로커들에 다 뺏긴다[짝퉁의 공습]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314345718014_17568776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