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주 4일제 시행하는 곳 늘더니…4.5일제·정년연장 진짜 오나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4.5일제 논의 본격화, 일부기업 4일제 시행
초고령사회 맞물려 정년 연장 논의도 이어져

주 5일제 도입 21년 만에 주 4.5일제를 향한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노동시장의 패러다임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일부 기업은 이미 주 4일제까지 시행하며 변화를 선도하는 모습이다.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기사와는 무관. 아시아경제DB

광화문 네거리에서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기사와는 무관. 아시아경제DB

AD
원본보기 아이콘

8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우리나라 임금 근로자의 연평균 근로시간은 1904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1719시간)보다 185시간 많았다. OECD 회원국 가운데 한국보다 노동시간이 긴 국가는 콜롬비아, 멕시코, 코스타리카, 칠레, 이스라엘 등 5개국뿐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서도 우리나라의 '시간 주권' 수준은 31개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인공지능(AI) 확산과 생산성 혁신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른 가운데 장시간 노동이 근로자의 삶의 질뿐 아니라 경제 활력마저 저해한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동시에 올해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3%에 달하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만큼 정년 연장 논의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선제적 시도 확산, 성과로 이어지는 변화

노동계와 정치권이 주 4.5일제 도입과 정년 연장을 주장하는 사이 몇몇 기업은 이미 선제적 변화를 실험하고 있다.

SK텔레콤과 SK스퀘어는 '해피 프라이데이'를 운영하며 2주간 80시간을 채우면 금요일 휴무가 가능한 주 4.5일제를 도입했다. 휴넷은 2022년 7월 업계 최초로 주 4일제를 도입해 채용 경쟁률이 3배 이상 뛰고 매출도 20%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보안업체 슈프리마 역시 주 4.5일제 시행 후 매출이 72%, 영업이익이 51% 늘었다.


삼성전자, LG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대기업들도 선택적 근로시간제, 고령 근로자 재고용, 전문 인력 장기 활용 제도 등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선택근로제를 통해 일·가정 양립을 돕고 SK하이닉스는 나이와 직급에 제한 없는 엔지니어 제도로 경험 전수를 장려한다. LG전자는 자기주도적 근로시간제를 도입해 근로자 만족도를 높였다. 제주도·울산 등 일부 지자체도 유연근무제를 활용해 주 4.5일제를 운영 중이다.

정부, 근로시간 단축·정년 연장 논의…부작용 우려도
이재명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주4.5일제 도입방안 마련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아시아경제DB

이재명 대통령이 더불어민주당 대표 시절 주4.5일제 도입방안 마련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모습. 아시아경제DB

원본보기 아이콘

정부 역시 주 4.5일제와 정년 65세 연장을 국정과제로 추진 중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한국의 평균 노동시간을 OECD 평균 이하로 낮추겠다"며 주 4.5일제 도입 추진을 공약했다. 법정 정년의 단계적 연장과 함께 2025년 내 입법 추진 및 범정부 지원 방안 마련도 약속했다.


다만 과거 정년 연장 시행 당시 청년 고용 위축, 조기퇴직 증가 등 부작용이 있었다는 점은 풀어야 할 과제로 지적된다. 기업들은 "강제보다는 인센티브 중심의 정책이 필요하다"며 "노동시간 단축이 임금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현실적으로 논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한편 근로 생산성 향상 및 기업 경쟁력 제고가 근본적 해결책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기업은 AI 전환으로 효율화를 꾀하고 근로자는 업무 몰입도를 높여야 한다"며 "정부는 세금 감면 등 지원책을 통해 이러한 노력을 확산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