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검찰개혁 속도전·野 입법 독주 제동 '대치'
李대통령-張대표 단독 회담 성과에 관심
국정협의체 거론 가능성…빈손 회담 전망도
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오찬 회동으로 정국이 분수령을 맞았다. 여야가 끝장 대치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이번 회동으로 협치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여부에 이목이 쏠린다. 분수령을 가를 '키'는 이 대통령과 첫 단독 회담을 앞둔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쥐고 있다는 분석이다.
8일 장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이 대통령과의 회담 의제와 메시지 수위 등을 최종 점검했다. 7일 지도부와 회의를 통해 의제를 정리한 것에 이어 회담 직전까지 전략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초반 관심사는 그간 대립각을 세워온 여야 대표가 악수를 하는 장면이 연출될지 여부다. 앞서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내란 세력과는 악수하지 않겠다"고 언급했고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도 "사람하고만 대화한다"고 응수하면서 각을 세워왔다. 박수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의 중재로 그간 여야 대표가 악수하지 않았던 경색 국면을 풀 수 있는 국면을 맞았다"며 "형식적인 악수가 아닌 진정한 악수가 되길 기대한다는 (정 대표의) 말씀이 있었다"고 전했다.
회담 테이블에는 최근 현안을 포함해 민감한 사안부터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7일 검찰청 해체를 핵심으로 하는 정부조직 개편안이 발표된 만큼 민주당은 더 센 특검법, 내란 특별재판부 설치 등 내란 종식을 위한 검찰·사법 개혁의 속도전을 재차 강조할 예정이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역대 정부에서 실패한 검찰 개혁은 이 대통령의 결단 덕분"이라며 "이달 말 국회에서 정부조직법을 반드시 처리하겠다"고 공언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정부조직 개편안을 비롯해 노란봉투법(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2·3조 개정안), 더 센 상법 개정안을 강행한 여당의 입법 독주에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다. 대외 이슈로는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를 물을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체포·구금 사태에 대해 정부의 대응력 부족도 지적할 전망이다.
여야 대표가 기존 입장차를 확인하는 가운데 이 대통령과 장 대표의 단독 회담 성과에 관심이 집중된다. 이 대통령의 여야 대표 회담 제안에 장 대표가 단독 회담을 역제안했고, 이를 이 대통령이 수용해 성사된 자리인 만큼 기대감이 높다. 이재명 정부에 대한 강경 노선을 내세웠던 장 대표지만 실리를 찾기 위해 이 대통령의 역할을 적극 주문할 것으로 보인다. 의석수 열위와 여당의 강경 노선에서 돌파구를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장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여야 지도부와 대화의 물꼬를 튼 것에 대해서는 의미 있게 생각한다"며 "오늘 대화가 현 난맥상을 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그 일환으로 '여·야·정 국정협의체' 구성 등 회동 정례화를 제안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민생 현안에는 협조하면서 야당 말살 시도에 대해 야당의 반대 목소리를 전할 통로를 만들기 위해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통령도 민주당의 일방통행식 입법 독주가 편하지만은 않을 것이기 때문에 먼저 국정협의체를 제안해 올 수 있다"며 "이에 대한 교감을 나누면 대화가 풀릴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반면 빈손 회담으로 끝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민주당의 행태를 보면 이 대통령의 속도조절론이 전혀 먹히지 않는다"며 "대통령이 당을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이라 큰 성과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도 "이 대통령이 장 대표의 목소리를 경청하되 답은 하지 않을 것"이라며 "야당이 성과 없는 회담을 여론전의 동력으로 삼는 결과에 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황서율 기자 chestnut@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잘나가는 '한국산' 싹 베껴 팔아버리네…'11조 피해' 중국 브로커들에 다 뺏긴다[짝퉁의 공습]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314345718014_17568776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