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TV 시장 점유율 中 점유율 50% 돌파
도시바 인수 브랜드 포함
작년 4대 중 3대꼴로 중국·대만 제품 판매돼
中정부 지원 속 삼성·LG 앞설 것이란 전망도
중국 업체들의 일본 TV 시장 점유율이 처음으로 50%를 돌파했다. 연합뉴스는 7일 아사히신문을 인용해 "시장분석업체 BCN에 따르면 업체별 시장 점유율은 중국 하이센스 41.1%, TCL 9.7%였다. 하이센스 점유율은 도시바로부터 인수한 레그자 25.4%, 자체 브랜드 15.7%였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더해 대만 폭스콘(훙하이정밀공업)이 인수한 샤프도 점유율이 20.6%에 달해 지난해 일본에서 출시된 TV는 4대 중 3대꼴로 중국·대만 제품이었다.
반면 일본은 소니 9.6%, 파나소닉 8.8%에 불과했다. 아사히는 "파나소닉이 TV 시장 철수를 포함한 사업 재검토 압박을 받는 등 일본 기업 쇠퇴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과거에는 TV가 일본 가전 기업에 중요한 상품이었으나, 업체 간 품질 격차가 사실상 사라지면서 가격 경쟁력이 있는 중국 업체가 두각을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BCN 관계자는 아사히에 "화질은 각 업체의 제품이 모두 좋아서 (구매 시) 거의 판단 기준이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 냉장고와 드럼 세탁기의 경우 아직 과반 점유율을 지키고 있으나, 중국 업체들의 공세로 차이가 점차 줄고 있다. 하이얼 일본 법인은 올해를 '제3의 창업' 시기로 규정해 판매 체제를 강화하고 있고, 하이센스는 TV 인지도를 바탕으로 생활 가전 분야에 뛰어드는 등 일본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 가전 기업들이 정부 지원과 낮은 인건비, 장시간 근로를 기반으로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한국 가전 업계에서도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지난 5일 개최된 '2026년 준비를 위한 디스플레이 전략 세미나'에서 이충훈 유비리서치 대표는 "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은 삼성전자·LG전자 같은 세트업체와 직결된다"며 "2026년에는 하이센스가 삼성전자를 추월하고 2028년에는 TCL도 앞설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고 밝혔다.
지난 2023년 하이센스와 TCL은 TV 출하량에서 LG전자를 앞지르며 각각 2·3위를 차지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9월부터 가전 교체 프로그램 통해 자국 디스플레이 및 세트 업체 지원에 천문학적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약 28조원을 투입했고, 올해는 스마트폰·IT 기기까지 대상을 확대해 약 56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 대표는 "삼성·LG가 사실상 중국 정부와 경쟁하고 있다"며 "국내 디스플레이·전자 산업의 경쟁력이 크게 약화했다"고 지적했다.
김성욱 기자 abc123@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잘나가는 '한국산' 싹 베껴 팔아버리네…'11조 피해' 중국 브로커들에 다 뺏긴다[짝퉁의 공습]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314345718014_17568776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