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불참 가능성…미중 회담에 집중"
"방한 초점은 경제협력, 무역·안보도 논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달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준비 중이라고 미 CNN 방송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 성사에 더 큰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투자 유치 확대를 포함한 경제 협력 역시 트럼프 대통령 방한의 핵심 목표 중 하나로 관측된다.
CNN은 이날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 3명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과 참모진이 APEC 회의 참석을 위한 물밑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APEC 기간 시 주석과의 양자 회담 가능성에 대해 진지한 논의가 진행돼 왔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확정된 계획은 없는 상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김 위원장과의 만남으로 이어질지도 관심사이지만, 참석 여부가 불투명한 만큼 미중 정상회담이 우선 의제로 다뤄지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이 시 주석, 김 위원장과의 관계가 미묘한 시기에 추진되고 있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전승절 열병식을 계기로 북·중·러 정상이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자 트루스소셜을 통해 불쾌감을 표시한 바 있다.
다만 김 위원장과의 회담 가능성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CNN은 트럼프 행정부가 2019년 북미 핵 협상 과정에서 김 위원장을 도청하기 위해 특수부대를 침투시켰다는 뉴욕타임스(NYT) 보도가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작전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고 부인했으며 북한은 아직 별다른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판문점에서 회동이 이루어진 2019년 6월 30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보고 있다. 강진형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백악관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가능하다면 올해 김 위원장을 만나고 싶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CNN은 그러나 이번 방한의 초점이 대미 투자 확대에 맞춰질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관세, 안보, 원자력협정 개정 등 한미 현안에 대한 후속 논의도 이뤄질 수 있다.
백악관 관계자 역시 "논의 중인 한국 방문의 핵심은 경제 협력"이라며 무역, 안보, 민간 원자력 협력까지 포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CNN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방한을 미국에 대한 투자 확보의 기회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순방에서도 같은 기조를 보였다.
한국 정부는 현재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역량 확보를 위해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을 추진 중이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한미정상회담 후 브리핑에서 "원자력 협력에 대해서도 의미 있는 논의를 했으며 앞으로도 양국의 추가적 협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잘나가는 '한국산' 싹 베껴 팔아버리네…'11조 피해' 중국 브로커들에 다 뺏긴다[짝퉁의 공습]⑤](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90314345718014_175687769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