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美 '韓기업 이민단속'에…국힘 "700조 선물 주고 뒤통수 맞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미국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불법체류자를 단속하며 다수의 한국인을 체포하자 국민의힘이 "700조원 선물 보따리를 안긴 지 11일 만에 뒤통수를 맞았다"고 비판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재명 정부는 지난달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총 5000억달러 대미 투자를 약속했지만, 결과는 현대차-LG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돌아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수석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산 자동차·부품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지만,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 일본보다 불리한 경쟁 환경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미국 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불법체류자를 단속하며 다수의 한국인을 체포하자 국민의힘이 "700조원 선물 보따리를 안긴 지 11일 만에 뒤통수를 맞았다"고 비판했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이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 들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이재명 정부는 지난달 25일 한미 정상회담에서 총 5000억달러(약 700조원) 대미 투자를 약속했지만, 결과는 현대차-LG 합작 공장 단속 사태로 돌아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수석 대변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산 자동차·부품 관세를 15%로 인하하는 행정 명령에 서명했지만, 한국산 자동차에는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되고 있다"며 "한국 기업은 미국 시장에서 일본보다 불리한 경쟁 환경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700조원에 달하는 투자를 약속해놓고도 국민의 안전도, 기업 경쟁력 확보도 실패한 것이 이재명 정부의 실용 외교 현실"이라며 "국민의힘은 국민과 기업을 지키기 위한 대책을 강력히 요구하고, 이재명 정부의 외교 실패 책임을 끝까지 묻겠다"고 강조했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