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판 전제조건부터 의견충돌…러·우 회담도 지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서방 안전보장군을 우크라이나에 배치하겠다는 방안에 대해 반발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도해온 종전 구상에 차질을 빚게 됐다.
푸틴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안전보장군을 정당한 타격 목표물로 간주할 것"이라며 "파병 부대의 우크라이나 주둔 가능성은 우크라이나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로 끌어들인 근본 원인 중 하나였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지난 4일 우크라이나 북부에서 지뢰 제거 작업을 하던 덴마크난민위원회(DRC) 소속 우크라이나인들을 미사일로 공격했으며 이로 인해 2명이 숨지기도 했다.
푸틴 대통령의 이 같은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유럽의 '의지의 연합' 참여국 등이 그간 논의해온 종전과 평화 유지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지난 4일 '의지의 연합' 정상들과 회의를 열어 양국의 휴전 또는 평화 달성 이튿날 서방 26개국이 참여하는 안전보장군을 파병하기로 합의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전보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종전 협상의 전제 조건으로 요구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달 18일 젤렌스키 대통령을 포함한 유럽 각국 정상들과의 회담에서 나토식 집단방위와 유사한 형태의 안전 보장을 제공하는 방안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군의 직접 배치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입장을 보였다.
결국 종전 구상에 차질을 빚게 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푸틴-젤렌스키 양자 회담도 사실상 결렬되는 분위기다. 푸틴 대통령은 "회담 준비가 다 됐고, 최적의 장소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라며 사실상 회담 의지가 없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앞서 젤렌스키 대통령은 "러시아는 회담을 미루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며 "회담이 이뤄지기를 원치 않는다면 나를 모스크바로 초대하라"고 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2일 "2주 후에도 전쟁 종식 관련 진전이 없으면 '매우 중요한 결정'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기한인 이날까지 협상과 관련해서는 진전이 없었으며, 러시아는 오히려 우크라이나에 대해 여러차례 공습을 감행했다.
이런 상황에서 러시아가 중국, 인도 등과 반미 연대를 구축하고 있어 종전 관련 진전은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푸틴 대통령은 지난 2일 중국을 방문해 상하이협력기구(SCO)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도 화기애애하게 담소를 나누는 모습을 연출했다. 중국 전승절 열병식에도 참석해 시 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나란히 선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인도와 러시아를 가장 깊숙하고 컴컴한 중국에 빼앗긴 것 같다"면서 "그들이 함께 길고 번영하는 미래를 누리기를 바란다"고 불편한 심기를 전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변인은 미·러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두 대통령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 회담이 매우 신속히 조직될 수 있다고 의심하지 않는다"고 했지만, 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박승욱 기자 ty1615@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