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SK하이닉스, 2분기도 D램 시장 1위…삼성과 매출·점유율 격차 확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시장조사기관 옴디아 집계
매출 약 122억달러…삼성은 103억달러
점유율도 6.2%포인트로 격차 확대
HBM 영향 분석…연간 1위 달성할지 주목

SK하이닉스가 지난 1분기에 이어 올해 2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와의 매출·점유율 격차도 크게 벌린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연합뉴스

경기도 이천시 SK하이닉스 본사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5일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D램 업계의 매출 규모는 전 분기 대비 17.3% 증가한 309억1600만달러(약 43조원)로 집계됐다. D램 계약 가격 상승과 HBM 출하량 증가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전체 D램 시장 점유율에서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 지배력이 큰 영향을 미쳤다. 옴디아는 SK하이닉스의 D램 점유율(매출 기준)이 지난 1분기 36.9%에서 2분기 39.5%를 기록하며 2분기 연속 삼성전자를 앞지르고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34.4%에서 33.3%로 하락해 2위에 자리했다. 이 기간 양사의 격차는 2.5%포인트에서 6.2%포인트로 확대됐다.


매출 규모도 올해 2분기 SK하이닉스는 122억2600만달러, 삼성전자는 103억달러로 19억달러 이상 차이가 났다. SK하이닉스가 D램 점유율에서 삼성전자를 추월한 것은 지난 1분기가 처음이었다. 1992년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세계 1위를 차지한 이후 33년 만이다.

SK하이닉스, 2분기도 D램 시장 1위…삼성과 매출·점유율 격차 확대 원본보기 아이콘

또 다른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도 SK하이닉스의 D램 시장 점유율이 1분기 36%에서 38.7%로 2.7%포인트 증가해 1위를 유지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연간 글로벌 D램 시장 1위도 달성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집중된다. SK하이닉스는 현재 50% 이상의 점유율로 HBM 시장 최대 공급자 입지를 다지고 있다. 인공지능(AI) 시장의 '큰손' 엔비디아 등 주요 빅테크에 대부분의 HBM 물량을 공급하고 있다. 올해 HBM 물량을 이미 '솔드아웃(완판)'한 상태이며 내년 물량 계약도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