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홍·오경미, 전직 대통령 이름 중단 요구
김용태 “정당한 경력…국민 알권리 침해 안돼”
광주교육감 선거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이름이 포함된 직함을 둘러싸고 교육의 정치화를 경계하는 비판과 "삶의 경력"이라 옹호하는 반론이 맞서며 논란이 커지고 있다.
오경미 전 광주시교육청 교육국장과 정성홍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4일 공동 성명을 내고 "교육을 책임질 교육감을 뽑는 선거가 특정 정치인의 이름과 영향력에 의해 왜곡되는 현실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교육에서 정치적 영향력은 단호히 배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 예비후보는 "특정 후보가 노무현재단 광주시민학교장 직함을 사용함으로써 여론조사 지지율이 급등락했다"며 "교육감 선거가 정책과 철학이 아니라 정치적 프레임과 유명 인사의 상징성에 좌우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전직 대통령 이름을 경력에 포함시켜 여론조사에 활용하는 것은 정치적 영향력을 끌어다 쓰는 행위로 교육을 정치화하고 선거의 공정성을 훼손한다"고 지적하며, 선관위에 "정치와 교육의 분리라는 법 취지에 따라 전직 대통령 및 정치인 이름을 직함으로 쓰지 못하도록 명확한 지침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광주시교육감 선거와 관련한 모든 여론조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반면 해당 직함을 사용한 김용태 전 전교조 광주지부장은 "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시민학교장 경력은 제 삶이 축적된 결과이자 떳떳하게 내세울 수 있는 정당한 경력"이라며 "공직선거법상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반박했다. 그는 민주화운동과 노동운동, 전교조 활동, 시교육청 5·18 공교육특별위원회 활동 등을 거쳐 시민학교장을 맡아온 이력을 강조하며 "후보 경력은 유권자가 평가할 중요한 항목이며, 여론조사를 압박하는 것은 시민의 알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지부장은 "광주교육은 인사비리와 청렴도 하락, 열악한 재정과 교원 부족 등으로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다"며 "개인의 권력욕이 아니라 시민사회가 요구하는 교육 대의를 위해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호남취재본부 송보현 기자 w3t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