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트럼프, 백악관 만찬에 저커버그·쿡 초청…머스크는 제외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4일 로즈가든 저녁 만찬 개최
백악관·실리콘밸리 밀착 행보
美기술패권 강화 위해 전략적 협력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야외 정원인 로즈가든의 새 단장 후 열리는 첫 만찬에 빅테크 거물들을 초대했다고 AP통신, 블룸버그통신 등 다수 외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백악관 전경. 로이터연합뉴스

백악관 전경. 로이터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일 로즈가든에서 개최하는 저녁 만찬에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애플의 팀 쿡,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오픈AI의 샘 올트먼, 알파벳(구글 모회사)의 순다르 피차이 등 20여명의 창업자 또는 최고경영자(CEO)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백악관 공보실의 데이비스 잉글은 "백악관 로즈가든은 워싱턴, 혹은 전 세계를 통틀어 가장 주목받는 공간"이라며 "대통령은 이번 만찬과 향후 이어질 다수의 만찬에서 주요 기업·정치·기술계 인사들을 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외신들은 트럼프 대통령과 대규모 감세안을 두고 갈등을 빚다가 결별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초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는데 주목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정부효율부(DOGE) 고문으로 근무하며 연방정부 인력 효율화 정책 등을 주도한 바 있다.


최근 IT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다양성·공정성·포용성(DEI) 프로그램 축소 정책에 발을 맞추고 신흥 기술에 대한 트럼프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가령 한때 트럼프 대통령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메타의 저커버그 CEO는 대통령 취임위원회에 100만달러씩 기부하는 등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려 애썼다. 이 같은 노력의 성과로 유럽을 필두로 각국의 디지털 규제 등에 대해서도 트럼프 행정부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2기 집권 후 인공지능(AI) 기술 육성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미국이 기술 패권을 유지하려면 빅테크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란 전략적 판단에서다. 백악관 AI 연방 정책을 총괄하는 'AI 차르'인 데이비드 삭스도 지난 7월 관련 규제 완화와 연구개발(R&D) 강화 등이 담긴 행정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백악관은 엔비디아와 AMD 등 주요 AI 반도체 기업에 대한 지원 의사도 밝혔다. 두 회사는 최근 미 정부로부터 승인 보장을 받으며 일부 AI 칩의 중국 판매를 재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로즈가든 만찬 역시 영부인인 멜라니아 트럼프가 주최하는 AI 행사 다음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멜라니아 여사는 지난달 26일 AI 기술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AI 챌린지' 영상을 공개하며 직접 홍보대사로 나섰다. 그는 영상에서 "AI 챌린지는 다음 세대가 중요한 신기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갖추게 하는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로즈가든에 석조 파티오를 세우고 파라솔도 교체했는데 AP통신은 이를 두고 "마러라고 클럽 야외 시설과 놀랄 만큼 비슷하다"고 묘사했다. 마러라고 클럽은 플로리다에 위치한 트럼프 대통령 사저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