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병원 비급여 진료비 한해 7조원…도수치료가 8.3% 차지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복지부, 작년 9월 1068개 비급여 항목 총 5760억원
3월 대비 한방·요양병원서 큰 폭 증가

국내 병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가 한해 7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가장 큰 진료과목은 정형외과, 개별 행위로는 1인실 상급병실료와 도수치료였다.


병원 비급여 진료비 한해 7조원…도수치료가 8.3% 차지
AD
원본보기 아이콘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병원급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도 하반기 비급여 보고제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4일 공개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은 비급여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민의 알 권리와 의료 선택권을 보장하기 위해 2023년 9월부터 의료기관이 비급여 진료내역 등을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의원급을 포함한 전체 의료기관은 3월분 진료 내역을 기준으로 상반기에 보고하고, 이 중 병원급 의료기관은 하반기(9월분 진료내역)에 추가로 실시한다.


지난해 하반기엔 전체 병원급 의료기관 4166곳 중 4104곳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1068개 항목(가격공개항목 623개+보고항목 445개)의 9월 진료내역을 보고했다. 그 결과 이들의 비급여 진료비 규모는 총 5760억원으로, 상반기(2024년 3월분)보다 38억원 증가했다. 또 이를 연간 규모로 단순 환산할 경우 병원급 의료기관의 비급여 진료비는 연간 약 6조9124억원으로 추산됐다.


의료기관 종별로는 병원의 비급여 진료비 규모가 2559억원(44.4%)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종합병원 1203억원(20.9%), 상급종합병원 686억원(11.9%), 치과병원 499억원(8.7%), 한방병원 449억원(7.8%), 요양병원 358억원(6.2%) 등의 순이었다. 같은 해 상반기와 비교했을 때 한방병원(48억원 증가)과 요양병원(40억원 증가)의 진료비 증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당 평균 비급여 진료비는 1억4230만원으로, 상급종합병원이 평균 14억5869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종합병원 평균 3억6680만원, 치과병원 평균 2억1805만원 등이었다.


진료과목에서는 정형외과가 1534억원(26.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경외과 816억원(14.2%), 내과 592억원(10.3%), 일반외과 385억원(6.7%), 산부인과 298억원(5.2%) 등의 순이었다.


항목별 비급여 진료비 규모는 상급병실료(1인실)이 553억원(9.6%)으로 가장 크고, 이어 도수치료 478억원(8.3%), 치과 임플란트 중 지르코니아(Zirconia) 234억원(4.1%) 순이었다. 또 척추-요천추 자기공명영상진단(MRI)과 척추경막외 유착방지제, 기타의 종양치료제-싸이모신알파1, 체외충격파치료 등 비급여 상위 10개 항목이 전체 비급여 진료비의 41.6%를 차지했다.


특히 이 가운데 연조직 재건용 치료재료, 인체조직유래 2차 가공뼈 등 치료재료의 진료비 규모 증가가 두드러졌고, 요양병원과 한방병원 중심으로 '종양용약-기타의 종양치료제-싸이모신알파1'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복지부는 분석했다.


정부는 올해 4월부터 비급여 보고자료 분석 결과를 포함해 비급여 항목별 가격 및 질환·수술별 총진료비, 비급여 의료행위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등 다양한 비급여 관련 정보를 '비급여 정보 포털'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의료 현장의 자율성과 환자 선택권을 존중하되,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는 급여로 전환해 적정 진료·가격 전환을 유도하고 환자의 의료 선택권 제고를 위해 과잉 우려가 큰 비급여는 실시 전 환자의 서면 동의 의무화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권병기 복지부 필수의료지원관은 "국민들의 알 권리 보장을 위해 비급여 보고자료를 활용한 비급여 정보 제공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이라며 "환자·소비자단체·의료계 등과 충분한 논의를 통해 국민 의료비에 부담을 주는 과잉 비급여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