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윤여선 교수팀-휴스턴대 공동연구… 아동기 경험·대학생 식행동 관계 규명
美 학술지 게재… 아동기 긍정경험의 완충 효과 확인, 공중보건 예방 전략 기대
대학생 10명 중 8명이 과식·폭식·외모 집착 등 이상섭식행동을 경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아동기 시절 긍정적 경험이 많고 부정적 경험이 적을수록 이 같은 위험이 최대 41%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대 식품영양학과 윤여선 교수 연구팀은 미국 휴스턴대 크레그 존스턴 교수팀과 함께 2022∼2023년 미국 대학생 1634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경험과 이상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고 4일 전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Adversity and Resilience Science에 실렸다.
연구팀은 아동기의 부정적 경험(학대·방임·가정불화 등)과 긍정적 경험(돌봄·지지 관계·안정적 환경 등)을 측정하고, 이를 과식·폭식·체중조절 행동·체형 집착 등 5가지 이상섭식행동과 비교했다.
그 결과 아동기에 긍정적 경험만 많아도 이상섭식 위험은 219% 낮아졌고, 부정적 경험이 적으면 위험은 721% 줄었다. 특히 긍정적 경험이 많고 부정적 경험이 적은 경우 위험은 최대 41%까지 낮아졌다.
윤 교수는 "대학생의 80%가 이상섭식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은 단순 치료를 넘어선 예방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준다"며 "아동기의 긍정적 경험을 늘리고 부정적 경험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대학생 이상섭식 문제를 개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기 환경과 연속된 사회적 문제로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논문은 해외 주요 매체에도 소개됐다.
영남취재본부 조충현 기자 jchyou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