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횟집서 바가지 논란 일기도
오는 11월 부산불꽃축제를 앞둔 부산 내 일부 관광지에서 '바가지요금' 논란이 불거지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3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최근 부산 자갈치시장 인근의 한 유명 횟집이 해산물 한 접시당 7만원에 판매해 물의를 빚었다. 해당 논란은 이재명 대통령이 언급하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2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부산 바가지 얘기가 있다. 해삼을 어떻게 했다더라"며 "지방 관광을 활성화해야 하는데, 제일 장애요인이 자영업자들이 가끔 사고를 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요즘은 과거와 달리 유튜브에 공개돼 확산 속도가 너무 빨라 치명적"이라며 "바가지를 어떻게 단속할 방법 없나, 연구해서 대책을 만들어야 할 것 같다"고 주문했다.
논란이 커진 가운데 부산 중구는 이날 현장 점검에 나섰고, 해당 횟집이 해삼 및 멍게, 낙지 등 해산물 가격을 제대로 게시하지 않은 것을 적발해 시정 명령을 내렸다.
일부 지자체들은 자체적으로 바가지요금 근절 대책을 마련했다. 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부산 기장군은 다음 주부터 해동용궁사 등 관광지 및 전통시장에서 바가지요금 근절 전단을 배부한다. 기장군의 대표 관광지인 해동용궁사에선 최근 한 노점상이 어묵 1개를 3000원에 판매해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또 기장군은 전통시장 상인회 등과 협력하고, 별도 상인회 조직이 없는 해동용궁사 인근 점포에선 자체 캠페인을 진행할 방침이다.
앞서 바가지 논란이 일었던 중구 자갈치시장에서도 상인회에서 캠페인을 진행한다. 시장 인근 어패류조합, 신동아시장, 자갈밭상인회, 외식업지부 등 4개 상인회가 캠페인에 합류하며, 오는 5일부터 착수할 방침이다.
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