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中부흥 못 막는다는 시진핑…그 옆에 선 김정은과 푸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中전승절 80주년 열병식 개최
북·중·러 정상 66년만의 만남
톈안먼 망루 올라 '역사적 장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앞줄 왼쪽부터)이 3일 오전 9시(현지시간) 중국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망루를 향해 나란히 걸어가고 있다. 베이징=타스연합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앞줄 왼쪽부터)이 3일 오전 9시(현지시간) 중국 톈안먼(천안문) 광장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망루를 향해 나란히 걸어가고 있다. 베이징=타스연합

AD
원본보기 아이콘

북한·중국·러시아 3국 정상이 톈안먼 망루에 함께 올라 66년 만에 한자리에 모이는 '역사적 장면'을 연출했다. '반미(反美) 연대' 중심축에 선 중국은 "인류가 평화와 전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며 미국 중심의 국제질서를 재편하겠다는 의지를 대외적으로 천명했다.


중국은 3일 오전 9시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을 개최했다. 70분간 진행된 열병식은 예포 발사와 국기 게양식으로 막을 올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열병식 시작 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함께 내빈들에게 인사하며 나란히 망루에 올랐다. 망루 위에서는 시 주석의 왼쪽에 김 위원장, 오른쪽에 푸틴 대통령이 함께 자리를 잡았다. 특히 북·중·러 정상은 시 주석 내외가 고궁박물관 내 돤먼(端門) 남쪽 광장에서 외빈을 영접하고 기념 촬영을 할 때도 중심에 섰다. 이어 톈안먼 망루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걸으며 담소를 나누는 등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북·중·러 3국 정상이 공식 석상에 모인 것은 1959년 이후 처음이다. 당시 마오쩌둥 주석과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 김일성 북한 주석이 신중국 건국 10주년 열병식에서 톈안먼 망루에 선 이후 66년 만이다.


시 주석은 전승절 연설에서 "역사는 인류가 함께 흥하고 함께 몰락한다고 경고한다. 오늘날 인류는 평화와 전쟁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서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중국 업적을 강조했다. 그가 "세계적 수준의 군대 건설을 서두르겠다. 중국 민족은 어떤 괴롭힘에도 결코 겁먹지 않는다"고 밝히자 참석자들로부터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직접적으로 '미국'이라고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괴롭힘'이라는 표현은 미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평소에도 일방주의·보호주의·패권주의·괴롭힘 등 표현을 통해 우회적으로 미국을 비판해왔기 때문이다.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이 제2차 세계대전 승리에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현 국제질서를 대체할 대안으로 '중국 리더십 체제'를 부각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실제로 이런 예상이 어느 정도 들어맞은 것으로 보인다.


열병식의 백미인 신형 무기 공개도 이어졌다. 중국은 미국 본토를 사정권에 두는 둥펑(DF) 계열 장거리 미사일을 비롯해 극초음속 미사일, 스텔스 전투기, 잠수함, 드론, 레이저 기반 방공 시스템 등 첨단 전력을 공개했다.


미국은 중·러 밀착에도 겉으로는 담담한 태도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열병식이 진행되는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은 중국이 외부 침략자들로부터 자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막대한 지원을 하고 피를 흘렸다는 점에 대해 시 주석은 대답해야 한다"며 "수많은 미국인이 중국의 승리와 영광을 위한 여정에서 목숨을 잃었다. 그들이 그 용기와 희생으로 마땅히 기려지고 기억되길 바란다"고 우회적으로 일침을 가했다.


그는 또 "시 주석과 위대한 중국 국민들이 위대한, 오래도록 기억될 기념일을 맞이하길 바란다"며 "미국에 대항해 공모하는 푸틴, 김정은에게 저의 따뜻한 안부를 전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군사 경계도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미국은 오는 11~25일 일본에 중거리 미사일 시스템 '타이폰'을 배치할 예정이다.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등을 탑재할 수 있는 첨단 무기 체계로, 앞서 관련 소식이 알려졌을 때 중국과 러시아가 강하게 반발한 바 있다.


한편, 올해 열병식에는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 외에도 노로돔 시하모니 캄보디아 국왕, 르엉끄엉 베트남 국가주석,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등 26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한국에서는 의전 서열 2위인 우원식 국회의장이 참석했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