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990원 소금빵 나왔지만…빵값 6개월째 6%대 고공행진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8월 빵 물가지수 6.5%↑
원재료·인건비 부담 속 6개월 연속 상승
독점 구조·담합 여부, 공정위 조사

빵값이 6개월 연속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며 소비자 부담이 커지고 있다.

990원 소금빵으로 유명해진 슈카의 성수동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의 모습. 기사와는 무관. 허미담 기자

990원 소금빵으로 유명해진 슈카의 성수동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의 모습. 기사와는 무관. 허미담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뛰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 이상이며 SK텔레콤 통신요금 인하 효과를 제외한 물가 상승률(2.3%)과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다.


빵값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 1% 미만 상승률을 보이다가 12월 3.3%를 기록한 뒤 올해 들어 1월 3.2%, 2월 4.9%로 오름폭을 키웠다. 3월부터는 6%대에 진입해 6개월 연속 높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3월에는 6.3%로 뛰었고 4~7월은 각 6.4%였다.

원재료·인건비 부담이 주요 원인

원재료 가격과 인건비 부담이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밀가루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2023년 9월 전년 대비 45.5% 급등한 뒤 최근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전쟁 이전보다 높은 수준이다. 달걀값도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올라 8월에는 전년 대비 8% 상승했다. 통계청은 "작년 말부터 이어진 출고가 인상과 원재료·인건비 부담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990원 소금빵으로 유명해진 슈카의 성수동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 내부 모습. 기사와는 무관. 허미담 기자

990원 소금빵으로 유명해진 슈카의 성수동 'ETF 베이커리' 팝업스토어 내부 모습. 기사와는 무관. 허미담 기자

원본보기 아이콘

최근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가 소금빵을 990원에 판매하며 '빵플레이션' 대응을 내세운 것이 화제가 됐다. 그러나 이를 두고 자영업자 사이에서는 "기존 빵집이 과도한 이익을 남기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에 슈카는 "자영업자를 비난한 적은 없으며 빵값의 구조적 문제를 말하려던 것"이라며 "오해가 있었다면 죄송하다"고 해명했다.

실제 국내 빵값은 주요 국가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분석된다. 공주대 산학협력단이 공정거래위원회 의뢰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29로 미국(125), 일본(120), 프랑스(118)를 웃돌았다. 100g당 평균 가격도 한국은 703원으로 프랑스(609원), 미국(588원), 호주(566원)보다 비쌌다.


국내 베이커리 업계의 수익성도 개선됐다. 전문점 배출은 2020년 6조240억원에서 2022년 7조5700억원으로 25.7% 늘었고 같은 시간 영업이익은 2700억원에서 4700억원으로 75.3% 증가했다. 양산빵 시장도 2018년 2조8372억원에서 2022년 3조9589억원으로 성장하며 전체 식품 시장 평균 증가율을 웃돌았다.

독점 구조·담합 여부, 공정위 조사

보고서는 설탕·계란·우유 등 원재료가 가공·유통되는 과정에서 시장 경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SPC삼립은 양산빵 소매 시장에서 점유율 80%를 차지하며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가졌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에 공정위는 지난 4월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등 주요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는지를 조사 중이다. 지난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의 계란 고시가격 운영 방식이 가격 담합에 해당하는지 여부도 들여다보고 있다.




박은서 인턴기자 rloseo8@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