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계량기 75% 차단 나서
병물 141만병 보유
시민 전체 배부 예정
최악의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사태로 강릉시민들이 온갖 방법을 동원해 대대적인 물 절약에 나서고 있다. 강릉 시민은 물을 아끼기 위해 화장실 청소를 비롯해 물티슈 사용을 일상화하고 있으며, 옷 또한 최대한 모아서 빨래에 나서고 있다. 여기에 머리 감은 등을 활용해 변기 물로 쓰는 등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생활용수 공급량은 기대만큼 줄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일각서는 수도 계량기 잠금 방식의 제한급수 방식을 변경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마저 나온다.

최악 가뭄으로 강원 강릉지역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가운데 1일 오후 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공급하는 상수원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4.4%까지 떨어져 풀이 무성한 모습이다. 연합뉴스
2일 연합뉴스는 극심한 가뭄피해가 이어지고 있는 강릉에서 절수 조치가 본격화한 가운데 여전히 물 부족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시민이 자발적으로 나서 수돗물을 아끼고 수도 계량기 75%를 잠금 하는 강력한 제한급수 시행, 대규모 숙박시설 축소 운영 등 물 절약에도 시민 18만 명에게 공급하는 생활용수는 크게 줄지 않았다. 강릉지역 87%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5% 미만으로 떨어져 계량기 75% 잠금이 시작된 지난달 31일 시민에게 공급된 생활용수량은 8만5750㎥이다.
막바지 피서로 제한급수가 시행되기 이전인 지난달 18일의 9만5417㎥와 1만㎥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다. 1일 공급한 생활용수도 8만5497㎥에 이르는 등 8월 하순부터 8만5000㎥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앞서 저수율이 20% 이하로 떨어져 계량기 50% 잠금이 시작된 지난달 20일 생활용수 공급량은 9만4118㎥이었다.
절수 운동 등 조처에도 물 사용량 기대만큼 줄지 않아
앞서 강릉시는 지난달 19일 실시한 가뭄 대응 비상 대책 기자회견 자료에서 저수율 20% 이하에서는 수도 계량기 50% 제한급수 등의 효과로 하루 생활용수 공급량을 약 5만7000㎥, 강력한 제한급수가 시행되는 15% 미만에서는 약 3만8000㎥로 추산했었다. 계량기 50% 잠금으로 절수 효과 40%, 75% 잠금의 강력한 제한급수로 60% 절수 효과를 각각 기대했었다.
그러나 그동안 해수욕장이 폐장해 피서객과 관광객이 감소하고 대규모 숙박시설 축소 운영, 체육시설 및 공중화장실 폐쇄, 시민들의 대대적인 절수 운동 등의 조처에도 물 사용량이 기대만큼 줄지 않고 있다. 실제로 시는 수도 계량기 50% 제한급수로 40% 절수효과를 기대했지만, 실제 15%만 줄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30일 오봉저수지를 방문한 이재명 대통령도 강릉시의 수도 계량기 잠금 방식의 제한급수에 대해 "획기적으로 (물 사용량이) 줄지 않을 것"이라며 "시간제 제한급수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가운데 저수율은 2일 현재 14.2%까지 떨어졌다. 김홍규 강릉시장은 1일 기자회견에서 "저수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 시간제나 격일제 급수 공급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처럼 저수율이 연일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우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은 "온종일 날씨를 새로 고치면서 비 소식만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세계에서 유명하다는 날씨 앱 몇 개를 깔아놓고 습관적으로 들여다본다", '온종일 날씨를 보고 뉴스를 보고 한숨만 나온다"며 비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