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기한 조작 파문 日 미니스톱
전수조사 결과 당초 23개서 25개로 늘어
데이터 대조, 라벨기 도입, 주방캡 등 재발방지책
매장 조리로 명성 떨쳤다가 소비기한 조작에 역풍
일본 편의점 미니스톱이 점포 내에서 제조·판매한 수제 주먹밥(오니기리)과 도시락 등에서 소비기한을 조작한 사실이 추가 적발됐다.
미니스톱 본사는 1786개 전 점포를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25개 점포에서 표시 부정이 확인됐다고 1일 밝혔다. 당초 지난달 발표한 23개 점포에서 전수 조사를 통해 2개 점포가 추가됐다. 1일 기준 소비기한 조작 지역별 25곳은 사이타마현(3), 도쿄도(2), 아이치현(2), 교토(3), 오사카부(11), 효고현(2), 후쿠오카현(2) 등이다.
회사는 사태 발생 직후인 지난 8월 9일부터 전 점포에서 수제 주먹밥 도시락 제조를 중단했으며, 이어 18일부터는 점내 조리 반찬도 중단했다. 조사 결과, 소비기한을 조작한 사례는 사이타마, 도쿄, 아이치, 교토, 오사카, 효고, 후쿠오카 등 7개 지역의 점포에서 확인됐다. 미니스톱은 "식품 안전과 정직한 영업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다"며 "고객과 가맹점, 관계 기관에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재발 방지책으로는 ▲제조·판매·폐기 데이터 정기 대조 ▲사장 직속 품질관리 전담자 신설 ▲신형 라벨 발행기 및 주방 카메라 도입 ▲외부 기관 위생조사 강화 ▲내부 신고 창구 '주방 110번' 신설 ▲전 직원 재교육 등을 내놨다. 회사는 향후 대책이 제대로 이행된 것을 확인한 뒤에야 점포 내 조리식품 판매를 재개할 방침이다.
미니스톱은 매장 조리를 강점으로 업계 4위에 올랐지만 매장조리 상품의 소비기한을 조작했다가 역풍을 맞고 있다. 지난달 18일 미니스톱은 전국 7개 도부현 23개 점포에서 '수제 주먹밥·도시락'의 소비기한이 속여 판매된 사실을 인정했다. 효고현 가와니시시에 위치한 한 점포 측은 보건소 조사에서 "폐기하기 아까워 1년 반에서 2년 전부터 소비기한 라벨을 바꿔 붙였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사이 지역에서만 16개 점포가 적발돼 파문은 더 커졌다. 간사이 지역 점장 A씨는 간사이 TV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직접 유통기한 조작을 지시했다"며 "2~3시간쯤은 괜찮다고 생각했고 죄책감은 크지 않았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약 1년 전부터 조작을 이어왔다고 밝혔다. 조작 방식은 ▲조리 직후 바로 라벨을 붙이지 않고 2시간 뒤 부착해 유통기한을 연장하거나 ▲이미 진열된 상품의 라벨을 교체해 기한을 늘리는 방식이었다. 그 결과 매장에서는 한 달 약 2만 엔(약 18만 원) 상당의 폐기를 줄일 수 있었다.
점장은 "본사에서 불법을 지시하지는 않았다"면서도 "신상품의 경우 '많이 만들라'는 지시가 내려왔고, 팔리지 않는 상품이 쌓이자 기한을 늘려 폐기를 줄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미니스톱 본사는 "조작은 각 점포의 판단일 뿐 본부는 개입하지 않았다"며 "판매 데이터에 근거한 목표 수치를 제시하고 점포와 합의해 결정한다"고 해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의 배경에 짧은 유통기한의 매장 조리 상품, 높은 판매 목표, 프랜차이즈 구조가 얽혀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무인화·자동화를 추진해, 주문이 들어온 뒤에 조리하는 방식으로 바꾸면 재고 폐기도 줄고, 인건비 상승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경호 기자 gungh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