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순방 기간 한미 정상회담을 취소하는 초강수 방안까지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의 거듭된 합의문 서명 요구 등이 이어지자 이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직접 회담이 결렬돼도 괜찮다는 지시를 내린 것이다.
1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매불쇼에 출연해 "미국은 정상회담을 계기로 어떻게든 우리를 (상호관세 협정문에) 사인하게 만들려고 압력을 가했다"면서 "이 대통령은 정상회담을 못 해도 괜찮으니 무리한 것은 사인할 수 없다고 했다"고 전했다. 김 정책실장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논의 중인 참모들에게 "낭떠러지에서 뛰어내릴 사람이 이긴다"고 말하며 한미 정상회담 취소까지 불사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측의 상호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지난달 31일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투자펀드를 제안했다. 양국은 큰 틀에서 합의를 이뤘지만 세부 문안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조율하지 못한 상태다. 한미 정상회담 전부터 미국 측은 빠르게 공동 합의문을 만들어 서명하길 희망했는데 이 대통령이 불리한 조건에 합의할 수 없다고 버틴 셈이다.
김 정책실장은 "일본에 갈 때만 해도 일본과만 (정상회담을) 하고 올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면서 "그럴 만큼 긴박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대통령이 국익이 제일 중요하므로 정상회담을 안 해도 된다고 말하니 (참모들이) 편하지 않으냐"면서 "살얼음판을 걷는 상황에서 정상회담이 열렸고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또 김 실장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의 회담 사진을 공개하며 "중간에 (분위기가) 험악해지고, 이러다 내가 정상회담을 망치는 것 아니냐 (걱정했다)"면서도 "후반에 가니 대한민국이 문제를 제기하는 게 무엇인지 이해했다"고 설명했다.
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소득·재산 상관없이 신청"…55세부터 매월 나눠받는 사망보험금 '세금폭탄' 피하려면[실전재테크]](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1911003687808_1755568836.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