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시보, 대만 국방부 보고서 인용 보도

2019년 열병식에서 공개됐던 중국 정부의 최신형 ICBM인 둥펑-41. 1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는 최신 보고서에서 중국 핵탄두 보유량이 2030년 100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연합뉴스
대만을 겨냥한 무력 시위를 이어가는 중국이 2030년에는 핵탄두를 1000개 이상 보유하게 될 것이라는 대만 국방부 보고서가 공개됐다. 작년 말 미 국방부 역시 비슷한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1일 중국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국방부는 지난달 29일 입법원(국회)에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5년도 중국 군사력 보고서'를 제출했다.
대만 국방부는 이 보고서에서 중국이 이미 운용 가능한 핵탄두를 600개 이상 보유했다고 평가했으며 2030년까지 1000개 이상을 보유하는 동시에 전비 배치도 마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앞서 공개된 미국 정부의 전망과 일치한다. 미 정치매체 폴리티코는 작년 말 미국 국방부가 의회에 제출한 최신 보고서를 인용해 중국이 2030년까지 핵탄두 보유량을 1000개까지 늘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2024년 한 해에만 최소 100개 이상 핵탄두를 늘린 것으로 추정됐다.
대만 국방부는 또 이번 보고서에서 중국군 제3호 항공모함 푸젠함도 랴오닝함(1번함)과 산둥함(2번함) 등과 함께 서태평양에 대한 위협으로 확대될 것으로 평가했다. 푸젠함은 지난해 5월 1일 첫 시험항해에 나선 이후 최근까지 총 8차례 시험항해를 마친 바 있다.
특히 서태평양 미국령 괌이나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으로 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인 둥펑(東風·DF) 계열 미사일들의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중국 정부는 사거리 300㎞의 둥펑(DF)-11을 비롯해 사거리 600∼900㎞의 둥펑-15, 사거리 1700㎞의 둥펑-21 등 구형 단·중거리 미사일을 도태시키고 둥펑-17(2000㎞)과 둥펑-26(4000㎞) 등 신형 미사일로 교체한다는 계획이라고 보고서는 전했다. 사거리가 7000㎞에 이르는 둥펑-31 탄도미사일 개량형의 정밀 타격 능력 향상 등을 위한 연구개발도 병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은 오는 3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는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전력을 과시하기 위해 둥펑 계열 장거리 미사일과 무인 잠수정 등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2019년 열병식 때는 둥펑-41이 공개된 바 있다. 아울러 중국이 올해 '스타급 무기' 공개를 예고하면서 6세대 스텔스 전투기 등 등장 여부 등도 관심사로 떠올랐다.
차민영 기자 bloomi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