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올해 도시가스 요금을 동결한다.
인상 요인이 있었지만 기록적 폭염과 경기 침체로 지갑이 얇아진 시민을 위해 '부담 경감'에 무게를 둔 결정이다.
부산시는 2025년 도시가스 소매 공급 비용을 동결한다고 1일 밝혔다. 도시가스 요금은 전체의 85~90%를 차지하는 도매 요금과 15~10%의 소매 공급 비용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도매 요금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소매 공급 비용은 시·도지사가 각각 승인한다.
시는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외부 전문기관의 용역을 거쳐 소매 공급 비용을 산정했다. 판매량 감소에 따른 수익성 악화, 인건비 상승, 공급관 설치비 증가 등 뚜렷한 인상 요인이 나왔지만 부산도시가스와 협의해 동결로 가닥을 잡았다. 이로써 가구당 월평균 도시가스 요금은 약 393원이 줄어든다.
산업용 요금은 절감 효과가 더 크다. 도시가스 요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도매 요금이 지난해 말부터 하락세를 이어가면서, 평균 사용량을 기준으로 한 사업장의 8월 요금은 약 643만원으로 2024년 12월보다 16.4% 낮아졌다. 부산도시가스는 원가 절감과 대형 수요처 확보 등으로 인상 요인을 자체 흡수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보급 확대에도 나선다. 지난해보다 11억원 늘어난 102억원을 도시가스 사업자의 의무 투자 재원으로 확보해 고지대 산복도로와 원거리 지역에 공급망을 넓히겠다는 구상이다.
박동석 시 첨단산업국장은 "도시가스 소매 공급 비용 동결이 시민 생활비 부담을 덜고 물가 안정에도 기여하길 바란다"며,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요금 운영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힘줬다.
영남취재본부 김용우 기자 kimpro7777@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