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 주간 아파트값 상승폭 커졌다…31주 연속 상승[부동산AtoZ]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전주 대비 확대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25주 연속 상승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서울, 경기, 인천 모두 상승했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8월 4주 서울 매매가 0.14% 상승
울산·세종 0.06% 경기 0.02% 올라
매수우위지수도 서울 6.4p·경기 0.7p↑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오름폭이 전주 대비 확대됐다. 서울 매수 심리도 전주 대비 소폭 반등했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마포구 아파트 단지 전경. 2025.06.27 윤동주 기자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마포구 아파트 단지 전경. 2025.06.27 윤동주 기자

AD
원본보기 아이콘

31일 KB부동산의 8월4주 주간KB아파트시장동향에 따르면 지난 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상승했다. 지난주(0.11%)에 하락했던 상승 폭이 다시 커지면서 혼조세를 나타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은 0.01% 상승했고 수도권(0.05%)은 경기(0.02%), 인천(0.01%) 모두 전주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5개 광역시(-0.04%)는 울산(0.06%)만 상승하고, 대전(-0.02%), 대구(-0.05%), 부산(-0.06%), 광주(-0.08%)는 하락했다. 기타지방(-0.01%)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서울 매매가 혼조세 …송파·용산 규제 이전 계약 반영에 강세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31주 연속 상승했다. 6·27 대출규제 발표 이후 상승세는 둔화했지만 8월 둘째 주(0.13%)와 8월 셋째 주(0.11%)에 이어 이번 주는 0.14% 오르며 일주일 간격으로 상승 폭이 오르고 내리고를 반복하고 있다. 7월부터 주간 매매가 변동률을 보면 △7월7일 0.28% △7월14일 0.24% △7월21일 0.19% △7월28일 0.16% △8월4일 0.11% △8월11일 0.13% △8월18일 0.11% △8월25일 0.14%)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송파구(0.28%), 용산구(0.27%), 중구(0.21%), 영등포구(0.20%), 강남구(0.19%)순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이번 주 서울에서 하락한 지역은 없었다. 송파구와 용산구는 대출규제 이후 거래량이 줄고 매수 문의도 없어 잠잠한 편이지만 규제 이전에 거래된 계약이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매매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지역 전반적으로 대출 규제와 여름철 비수기 등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다.

서울 매수우위지수는 56.8로 지난주(50.4)보다 6.4p 상승했다. 강북14개구(51.3)는 전주 대비 7.1p, 강남11개구(61.7)는 5.7p 올랐다. 8월 둘째 주(51.8)에 소폭 올랐으나 지난주(50.4)는 다시 하락했고 이번 주 들어 매수우위지수가 반등했다. 다만 기준점 100 아래여서 매수 심리위축은 여전하다.


8월4주(2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KB부동산 제공

8월4주(25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KB부동산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경기도 3주째 상승…성남 수정구·분당구 상승 폭 커

경기 아파트 매매가는 8월 둘째 주부터 3주째 상승세다. △8월11일 0.01% △8월18일 0.01% △8월25일 0.02%다. 성남시 수정구(0.27%), 성남시 분당구(0.27%), 광명시(0.24%), 하남시(0.24%), 성남시 중원구(0.18%), 용인시 수지구(0.18%) 등이 상승했다. 동두천시(-0.17%), 김포시(-0.14%), 평택시(-0.12%), 안성시(-0.09%), 오산시(-0.09%) 등은 하락했다.


인천(0.01%)은 8월 첫째 주부터 3주 연속 하락하다 소폭 반등해 상승 전환했다. 지역별로 미추홀구(0.04%), 부평구(0.03%), 서구(0.01%)는 상승했고 중구(0.00%),동구(0.00%), 남동구(0.00%), 연수구(0.00)%는 보합, 계양구(-0.02%)는 하락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주(18일 기준, 0.00%) 대비 상승 폭이 커졌지만, 7월 마지막 주부터 보합권을 유지하고 있다. 인천을 제외한 5개 광역시(-0.04%)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다. 울산(0.06%)만 전주보다 상승 폭을 키우면서 26주 연속 상승했다.


대전(-0.02%), 대구(-0.05%), 부산(-0.06%), 광주(-0.08%)는 하락했다. 기타지방(-0.01%)은 7주 연속 내림세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전북(0.02%), 충북(0.01%), 경남(0.01%)은 상승했고 전남(-0.01%), 충남(-0.02%), 경북(-0.03%), 강원(-0.05%)은 하락했다.


전국 매수우위지수는 33.7로 전주(32.8)보다 0.9p 상승했다.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 시행 이후 매수 심리가 위축되면서 관망세다. 수도권(40.2)에서는 경기(34.3)에서 전주 대비 0.7p 올랐지만, 인천(29.4)은 3.3p 떨어졌다. 5개 광역시(21.8)는 0.1p 내리면서 지난주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울산(40.7)만 전주 대비 하락했고, 대전(31.2), 대구(21.8), 부산(16.0), 광주(12.0)는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 전 지역에서 전세가격 상승
8월4주(25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KB부동산 제공

8월4주(25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KB부동산 제공

원본보기 아이콘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하며 25주 연속 상승했다.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0.04%)은 서울(0.06%), 경기(0.03%), 인천(0.01%) 모두 상승했다. 5개광역시(0.00%)는 2주 연속 상승하다 오름세로 전환됐다. 울산(0.05%), 부산(0.02%)은 상승하고, 광주(-0.01%), 대구(-0.01%), 대전(-0.05%)은 하락했다. 기타지방 전세가격은 0.00%를 기록했다. 지역별로 충북(0.03%), 경남(0.02%)은 상승, 전남(0.00%), 전북(0.00%)은 보합, 강원(-0.01%), 충남(-0.02%), 경북(-0.04%)은 하락했다.


서울(0.06%) 아파트 전세가격은 29주 연속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주(0.07%)보다 소폭 감소했고 3주째 둔화하는 추세다. 지역별로 광진구(0.23%), 강동구(0.18%), 강북구(0.16%), 송파구(0.15%), 용산구(0.14%) 등이 상승했다. 서초구(-0.02%)만 하락을 기록했다.


광진구는 전세 매물이 충분하지 않아 전세가격이 올랐고 한강 조망이 가능한 선호 매물을 중심으로 가격이 오르면서 일반 매물도 집주인들이 가격을 올려 내놓는 분위기다. 서초구는 잠원동 메이플자이 입주로 주변 지역까지 전세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서초구는 7주 연속 하락했으며, 이번주 하락 폭은 전주(-0.08%) 대비 소폭 감소했다.


경기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대비 0.03% 오르면서 31주째 올랐다. 성남시 수정구(0.26%), 군포시(0.23%), 성남시 중원구(0.19%), 안양시 만안구(0.15%), 수원시 팔달구(0.15%) 등이 상승했다. 반면 평택시(-0.06%), 고양시 덕양구(-0.05%), 안산시 상록구(-0.03%), 시흥시(-0.03%) 등은 하락했다. 평택시는 고덕·화양지구 등을 중심으로 7~8월 대단지 입주로 전세 매물이 쌓이면서 전세가격이 약세다.


인천(0.01%)은 2주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서구(0.04%), 부평구(0.03%), 미추홀구(0.01%)는 상승하고, 중구(0.00%), 남동구(0.00%), 계양구(0.00%), 동구(0.00%)는 보합, 연수구(-0.04%)는 하락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