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여성은 절반도 안 쓴다…남성 장악에 '고정관념 우려' 번지는 챗GPT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이 2022년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약 3800개 AI 툴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평균 방문 비율은 34.3%에 불과했다.

논문에 포함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할 확률이 약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AI 사용률,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우위
"AI 개발 편향 막으려면 참여 균형 필요"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해당 격차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이 같은 차이가 기술 발전에 성별 편향을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제기됐다.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 세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더 자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
원본보기 아이콘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의 렘브란트 코닝 교수, UC버클리 하스경영대학원의 솔레네 델레코트 교수 등은 최근 발표한 논문 '젠더 격차와 생성형 AI에 대한 글로벌 증거'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연구진은 세계 각국에서 진행된 18개 실증 및 학술 연구를 종합 분석했으며, 참여자 수는 약 13만3000명에 달했다.


생성형 AI 중 가장 대중적인 '챗GPT'의 경우, 2022년 11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월 평균 이용자 2억 명 가운데 남성이 58%, 여성은 42%로 나타났다. 다른 생성형 AI 플랫폼에서도 유사한 성향이 확인됐다. 예컨대 퍼플렉시티 이용자 중 여성 비중은 42.4%, 클로드는 31.2%에 그쳤다.

특히 스마트폰 기반 앱 사용에서는 차이가 더 두드러졌다. 해당 기간 챗GPT 앱을 다운로드한 여성은 전체의 27.2%로, 퍼플렉시티나 클로드 역시 여성 다운로드 비율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코닝 교수는 이에 대해 "미국이나 일본 같은 선진국뿐 아니라 인도, 브라질, 케냐 등 저·중소득 국가에서도 동일한 패턴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특정 목적에 특화된 AI 도구들에서도 남성 사용자 비율이 높았다. 연구진이 2022년 8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약 3800개 AI 툴을 분석한 결과, 여성의 평균 방문 비율은 34.3%에 불과했다.


논문에 포함된 메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생성형 AI를 활용할 확률이 약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사 과정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성별 차이가 21%포인트에 달했으며, 대학생과 기업가 집단에서도 최대 31%포인트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일부 여성 응답자들은 생성형 AI를 사용하는 것이 오히려 업무 능력에 대한 의심을 살 수 있다는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논문은 이러한 인식이 여성의 AI 활용을 위축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코닝 교수는 "남성과 여성이 모두 생성형 AI를 사용해야만 AI가 모든 사람으로부터 학습해 성별 중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며 "남성이 주된 사용자라면 생성형 AI가 성별 편향이나 고정관념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은하 기자 galaxy656574@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