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을 살려야 영남이 산다”
안동시의회, 국가적 어젠다로 끌어올려
경북 안동시의회가 낙동강 상류 중금속 퇴적 문제를 정면으로 꺼내 들었다.
29일 안동문화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낙동강 상류(영풍석포제련소~안동댐) 중금속 퇴적물 문제 해결 정책토론회'는 단순한 학술행사가 아니라, 영남 1300만 주민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경고의 장'이었다.
◆ "수은·카드뮴 방치, 식수원 무너뜨린다"
최만식 충남대 교수와 김영훈 국립경북대 교수는 안동댐 퇴적물의 중금속 축적 현황을 공개하며 경종을 울렸다. 카드뮴·수은 등 발암 가능 물질이 다량 축적돼 있다는 분석 결과에 현장은 술렁였다.
종합토론에서 손광영 안동시의회 부의장은 "안동댐은 1300만 영남 주민의 생명줄"이라며 "정부의 미온적 대응은 더 큰 재앙을 불러올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범부처 TF·특별법·손해배상"
구체적 해법 토론자들은 ▲중앙정부 차원의 범부처 TF 구성 및 특별법 제정 ▲영풍석포제련소·폐광산 등 오염원에 대한 강력한 감독과 손해배상 책임 ▲낙동강 수계 전반의 장기 정화·복원 로드맵 마련 등 세 가지 정책 제안을 집중적으로 제시했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기업은 책임을 외면했고 정부는 문제를 방치했다"며 "이제는 제도와 법률을 바꿔야 할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 "이제는 정치가 답할 차례"
토론회는 "낙동강 문제는 단순한 환경 이슈가 아닌 국가적 생존 의제"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안동시의회는 논의 결과를 정리해 중앙정부와 국회에 정책 건의문을 제출할 예정이다.
환경운동가 이태규 회장은 "낙동강을 살려야 영남이 산다. 이번 토론회가 단발적 행사에 그치지 않고 정치와 제도가 응답하는 출발점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을 지켜본 기자의 눈에는 '환경'이라는 단어보다 '생존'이라는 단어가 더 크게 다가왔다. 영남권 주민의 밥상과 수도꼭지로 연결된 안동댐의 중금속 퇴적 문제는 더 학문적 논의로 미룰 수 없는 절박한 과제다. 안동시의회가 던진 화두는 지역 현안을 넘어 국가적 의제다. 이젠 정부와 정치권의 결단만 남았다.
영남취재본부 권병건 기자 gb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선 3억 드는데 중국선 7000만원…로봇 한 대 뚝딱 조립되는 전자상가[中 휴머노이드 리포트]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710485298253_175625933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