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에 설치된 경로당이 20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서울 시내 경로당은 3596개다. 3596개 중 65.6%에 해당하는 최소 2348개가 아파트 단지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아파트 내 경로당의 평균 개설 연한은 20.5년, 평균 정원은 32.9명으로 파악됐다. 전체 경로당은 23.1년, 35.5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고령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9.6%가 경로당 위치를 알고 있지만 31.2%만 실제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이거나 만 75세 이상인 경우에, 이웃과 교류가 활발한 경우 이용률이 높았다. 반면 60~64세인 상대적으로 젊은 노년층은 경로당을 아예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답한 156명(중복 선택) 중 78.8%가 '친한 친구나 이웃과 교류하기 위해'라고 답했다.
아파트 거주 고령자 중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292명에게 물은 결과(중복 선택) 76.7%는 '이용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답했다. 아울러 24.7%는 '경로당보다 집에 있는 게 더 좋다', 13.0%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게 불편하다', 6.2%는 '바쁘고 아직 젊어서'라고 했다.
서울연구원은 "가칭 고령 친화 아파트 인증 제도 도입, 일반 공동 주택과 노인 복지 주택 결합 개발 등 정책 대안을 병행해 시설 기피도, 이용 대상과 비용 부과 문제, 설치·운영상 까다로움 등을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생활 체육 활동, 건강관리, 취미 오락 활동, 생활 지원 중심으로 향후 단지 내 경로당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한다면 경로당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한국선 3억 드는데 중국선 7000만원…로봇 한 대 뚝딱 조립되는 전자상가[中 휴머노이드 리포트]①](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710485298253_1756259331.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