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서울 아파트 경로당 2000곳 이상 있지만…60대 '新노년층'은 외면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연합뉴스

연합뉴스

AD
원본보기 아이콘

서울 아파트에 설치된 경로당이 2000개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 기준 서울 시내 경로당은 3596개다. 3596개 중 65.6%에 해당하는 최소 2348개가 아파트 단지 안에 위치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아파트 내 경로당의 평균 개설 연한은 20.5년, 평균 정원은 32.9명으로 파악됐다. 전체 경로당은 23.1년, 35.5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연구원이 아파트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 고령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9.6%가 경로당 위치를 알고 있지만 31.2%만 실제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여성이거나 만 75세 이상인 경우에, 이웃과 교류가 활발한 경우 이용률이 높았다. 반면 60~64세인 상대적으로 젊은 노년층은 경로당을 아예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경로당을 이용한다고 답한 156명(중복 선택) 중 78.8%가 '친한 친구나 이웃과 교류하기 위해'라고 답했다.


아파트 거주 고령자 중 경로당을 이용하지 않는 292명에게 물은 결과(중복 선택) 76.7%는 '이용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답했다. 아울러 24.7%는 '경로당보다 집에 있는 게 더 좋다', 13.0%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게 불편하다', 6.2%는 '바쁘고 아직 젊어서'라고 했다.


서울연구원은 "가칭 고령 친화 아파트 인증 제도 도입, 일반 공동 주택과 노인 복지 주택 결합 개발 등 정책 대안을 병행해 시설 기피도, 이용 대상과 비용 부과 문제, 설치·운영상 까다로움 등을 보완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생활 체육 활동, 건강관리, 취미 오락 활동, 생활 지원 중심으로 향후 단지 내 경로당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전문화한다면 경로당 이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정윤 기자 leejuyoo@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