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U 5만장 확보 시기 2~3년 앞당겨"
"AI 패권 경쟁 촉박해…NPU 도입 촉구"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5만장을 목표로 한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시기를 2~3년 앞당긴다. 내년까지 최대 3만7000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을 가속화하기 위해 관련 특별법도 제정한다.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9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카카오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첨단 GPU 확보 및 AI 고속도로 현장간담회' 에서 발언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경기 안산시 소재 카카오 데이터센터에서 열린 'AI 고속도로 간담회'에서 "첨단 GPU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당초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 1조4600억원으로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총 1만3000장을 확보하고, 내년에는 첨단 GPU 9000장급 슈퍼컴퓨터 6호기 구축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미국, 중국과의 AI 패권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시간이 촉박하다고 판단했다. 배 장관은 "2~3년 내 중국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수준의 AI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어야 한다"며 "내년에 슈퍼컴과 별개로 GPU 1만5000장을 한꺼번에 확보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원하는 GPU 확보 사업에는 카카오와 네이버클라우드, NHN클라우드가 참여한다. 이날 간담회에 앞서 김득중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김동훈 NHN클라우드 대표, 김세웅 카카오 부사장은 '첨단 GPU 구축 및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 경쟁력 강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AI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긴밀한 협력하기로 했다.
NIPA는 사업 이행 경과와 최근 발족한 과기정통부·NIPA·협력사 간 실무협의체 현황, 향후 계획 등을 발표했다. 차질 없는 GPU 확보와 오는 10월 'GPU 통합지원 플랫폼'(가칭) 구축, 12월 산·학·연 등 대상 GPU 배분·지원 착수 계획 등을 업계와 긴밀히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
카카오는 'AI 고속도로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AI 데이터센터 구축 방향'을 주제로 데이터센터 안산의 사례를 소개했다. 빗물 재활용으로 물 사용 최소화, 벽면·옥상부 등의 태양광 시설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대학과 협력해 AI 데이터센터 구축, 지역 인근 주민 대상 AI 데이터센터 개방 등이다.
배 장관은 "기업과 학교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GPU룰 사용하는 등 AI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할 테니 기업들이 생태계를 잘 활성화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 "신경망처리장치(NPU) 성능과 가격 경쟁력 강화 기회를 시장에서 제공해줘야 한다"며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NPU 국내 도입을 적극 검토해 달라"고 덧붙였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https://cwcontent.asiae.co.kr/asiaresize/93/2025082811435510281_1756349034.jpg)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