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im영역

킴 카다시안도 "예뻐지러 한국 갈래"…117배 급증, 독보적 1위 'K-피부과'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스크랩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피부과 외국인 환자 15년새 117배
작년 외국인 환자 중 피부과 비중 56.6%

우리나라 피부과를 찾은 외국인 환자가 지난 15년간 117배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미국의 대표적인 셀럽 킴 카다시안이 한국을 방문해 피부과 시술을 받는 등 외국인들에게 유명세를 탄 한국 피부과의 인기가 실제 수치로도 드러난 셈이다.


2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4 외국인 환자 유치실적 통계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를 방문해 피부과 진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는 총 70만5044명이었다. 전년도 23만9060명에서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킴 카다시안이 한국에서 피부 시술을 받고 있는 모습. 킴 카다시안 인스타그램

킴 카다시안이 한국에서 피부 시술을 받고 있는 모습. 킴 카다시안 인스타그램

AD
원본보기 아이콘

외국인 환자 유치 사업이 시작된 2009년의 6015명과 비교하면 15년 사이에 117배 급증했다. 이 기간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 숫자 자체가 19배가량 많이 늘긴 했지만, 피부과 진료 환자의 증가세는 이보다 훨씬 가팔랐던 셈이다.


진료 과목별 비중에서도 피부과는 단연 독보적이다. 2009년 전체의 9.3%에 불과했던 피부과 비중은 지난해 56.6%로 절반을 넘어섰다. 2024년 기준 피부과에 이어 성형외과(11.4%),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으로 많은 외국인 환자가 한국을 찾았다. 의원급만 보면 피부과 비중이 72.6%를 차지했다.


최근 5년간만 놓고 봐도 2019년엔 외국인 환자들의 진료 과목 가운데 일반내과·소화기내과·순환기내과 등을 모두 합친 내과통합이 19.2%로 비중이 가장 크고, 성형외과(15.3%), 피부과(14.4%) 순으로 뒤를 이었지만 2023년부터는 피부과가 1위로 올라섰다.

지난해 피부과 진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 중엔 일본 국적이 43.7%로 가장 많았고, 중국(24.4%), 대만(9.6%), 미국(5.7%), 태국(3.5%) 순이었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 대비 높은 시술 효과와 사후 관리 서비스가 알려지면서 '피부과 원정'은 단순한 진료를 넘어 한국 여행의 주요 코스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최근엔 미국 유명 인플루언서 킴 카다시안이 한국을 방문해 피부과 시술을 받은 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카다시안은 동생 클로이 카다시안과 함께 서울 용산구와 강남구에 위치한 복수의 피부 클리닉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서지영 기자 zo2zo2zo2@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많이 본 뉴스 !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