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시가 2025년 양성평등기금 지원사업 중 '모두를 위한 성평등' 강의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철회했다.
해당 강의는 진주여성민우회가 주최하고 경상국립대 여성연구소와 사회학과, 사회과학연구원 젠더지역미래센터, 단디뉴스가 공동주관해 이달 29일부터 9월 27일까지 경상대에서 열린다.
강의 주제는 ▲질병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퀴어와 함께하는 페미니즘 ▲환경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언론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미술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대중문화와 함께하는 페미니즘 ▲과학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노동과 법이 함께하는 페미니즘 ▲남성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모두와 함께하는 페미니즘 등으로 10개 분야를 페미니즘 관점으로 풀어낸다.
이 내용이 알려지자 진주시에는 양성평등 개념에 맞지 않는 강의에 양성평등기금을 지원하는 데 의문을 제기하며 강의 지원 취소를 요구하는 민원이 빗발쳤다.
민원인들은 '성평등'이란 용어에서의 '성'은 생물학적 성별이 아닌 사회적 성별을 의미해 남자와 여자 외 제3의 성 등 다양한 성 정체성을 제도화하는 사상이 담긴, 양성평등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고 주장했다.
해당 강의가 페미니즘 관점에서 진행돼 수강자들에게 편향된 관점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도 표했다.
시 누리집 게시판에서도 수백 건에 달하는 강의 지원 찬반 글이 올라와 거센 공방이 벌어졌다.
찬성 측은 "페미니즘 강의가 부족하기 때문에 강의를 꼭 열어야 한다", "성평등은 수많은 평등 중 하나일 뿐이다", "언제까지 그릇된 혐오사상에 물들어 이분적인 성별만 내세우는 걸 당연하게 여길 거냐", "성 소수자를 포함해 성평등의 가치를 느끼길 바란다"라며 보조금 지원을 지지했다.
반대 측은 "모두를 위한 양성평등이라면 당연히 시행해야 하지만 교육 주제가 모두 페미니즘을 주로 하고 있다", "성평등이 아니라 양성평등이 옳다, 아이들에게 혼란을 주지 말라", "고유한 생물학적 성이 사상과 이데올로기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고 가르치는 건 저출산 극복 노력과 상충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맞섰다.
강의를 검토하던 진주시 양성평등위원회는 해당 강의가 양성평등문화 확산 등 양성평등기금지원사업 목적에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이에 주최 측에 프로그램 내용 변경을 요청했으나 이를 수용하지 않아 보조금 400만원을 환수하기로 했다.
여성민우회는 강연회를 그대로 진행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관계자는 "강의 방향이 기금으로 운영하는 양성평등이란 주제의 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라며 "사업 취지에 맞게 프로그램을 다시 정하면 보조금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영남취재본부 이세령 기자 ryeong@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