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현장 작업자의 안전 강화를 위해 외부 '안전 전문가'와 머리를 맞댔다.
코레일은 28일 서울사옥에서 곽상록 한국교통대 교수, 정찬묵 우송대 교수, 최병규 철도교통관제협회 회장 등 산학연 철도 안전 전문가 6명과 전문가 자문회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이 자리는 이들 전문가와 정정래 사장직무대행 등 코레일 경영진 10여명이 참석해 현장 작업자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석자들은 선로 인근 작업을 객관·전문적 시각에서 다각도로 분석한 후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상례작업 방식 재검토와 충분한 작업시간 확보, 작업자 이동통로 등 일반선 안전시설에 대한 투자 확대 등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질적 안전 강화 대책을 강구하는 데 집중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선로 인근 작업 진단 및 개선 방안, 인공지능(AI)·디지털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작업방식과 시설 개선 방안, 철도시설물 유지관리를 위한 적정 작업시간 등에 관한 구체적인 논의가 오갔다.
곽상록 한국교통대 교수는 "열차가 다니지 않는 동안 작업할 수 있는 실질적 작업시간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찬묵 우송대 교수는 "일반선에도 고속선 수준으로 작업자 보호 설비를 확대 설치하는 등 안전시설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코레일은 이날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내·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현장 작업자 안전 강화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정정래 코레일 사장직무대행은 "철도 안전 전문가와 정부, 유관기관과 협의해 근본적인 현장 안전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코레일은 앞으로도 유지보수의 기계화·첨단화 등을 통해 작업자가 보다 안전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정일웅 기자 jiw3061@asiae.co.kr
꼭 봐야할 주요뉴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